오피니언 사외칼럼

[고전통해 세상읽기] 孔席墨突 <공석묵돌>

신정근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장

<공석묵돌·군주를 만나기 위해 달려가던 공자와 묵자처럼 바쁘게 돌아다님을 뜻함>

바쁘고 고통스러운 세상살이

타인의 노동에 무감해지기 쉬워

공감애 발휘해 따뜻한 연말되길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동양학 교수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동양학 교수


연말이 다가오면 한 해를 굽어보게 된다. 뭔가 뚜렷한 성과가 있으면 힘은 들었지만 한 해를 잘 보냈다고 생각한다. 반면 무엇을 했는지 확실하지 않으면 공사다망(公私多忙)하게 보냈어도 어깨가 처지게 된다. 그리해 공사다망에서 바쁘다는 망(忙) 자 대신에 없다는 망(亡) 자를 써서 공사가 다 망했다는 자조적인 표현을 쓰기도 한다. 현대인은 역사적으로 자신들이 가장 바쁘다고 생각한다. 사람이 도보로 이동하던 시절에는 활동 반경이 마을 단위로 좁았지만 오늘날 교통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활동 반경이 수시로 국경을 넘나들 정도로 넓어졌다. 활동 반경이 늘어나면 이전에 꿈조차 꾸지 못하던 일이 가능해지므로 할 일도 자연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

2515A27 고전통해


걸어서 이동한다 하더라도 바쁠 수 있다. 그 실례로 ‘공석묵돌(孔席墨突)’의 고사를 생각해볼 수 있다. 고사는 글자 그대로만 살펴보면 춘추전국 시대 사상가 공자가 어디를 가면 앉았던 자리와 묵자가 어디에 묵을 때 불을 지피던 굴뚝을 가리킨다. 좀 더 맥락을 풀이하면 이렇다. 공자와 묵자는 세상을 구제할 수 있는 사상을 찾아내 이 나라 저 나라의 군주를 만나 유세를 했다. 군주는 늘 바쁜 사람인지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면 만사를 제쳐놓고 궁궐로 달려가야 했다. 그래서 공자는 자신이 앉았던 자리가 따뜻해질 사이가 없었고 묵자는 자신이 묵었던 집의 굴뚝이 검게 변할 시간이 없었다는 뜻이다. 두 사람은 그만큼 분주하게 돌아다녔다는 말이다. 고사의 내용이 공자의 굴뚝과 묵자의 좌석으로 호응이 바뀐 경우도 있는데 저술에 종사한 한나라의 역사가 반고가 혹자로부터 놀고 지낸다는 비판을 받고서 가상의 주인과 객이 벌이는 대화 형식으로 쓴 ‘답빈희(答賓戱)’에서 ‘공석불난(孔席不暖), 묵돌불검(墨突不黔)’으로 표현하면서 지금의 표현으로 굳어지게 됐다.


사람은 서면 앉고 싶어 하고 앉으면 눕고 싶어 한다. 서는 것보다 앉는 것이 편하고 눕는 것이 앉는 것보다 편하기 때문이다. 공자와 묵자가 세상을 구한다는 포부를 지녔겠지만 편히 앉지도 못하고 누울 겨를도 가지지 못했으니 편하게 세상을 살지 못한 셈이다. 이상을 추구하는 사상가의 관점에서 보면 공자와 묵자는 일상과 신체의 고통을 대수로이 간주하지 않았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편한 것을 찾는 인간의 관점에서 보면 자리가 따뜻해질 겨를이 없었던 공자와 굴뚝이 검게 변할 여유가 없었던 묵자의 삶은 참으로 고통스러웠으리라 짐작해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관련기사



최근에 서서 일하는 사람의 노동이 고통스러운데도 불구하고 공감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한 ‘보이지 않는 고통(2017, 동녘)’이라는 책이 출간됐다. 여행을 가서 먼 거리를 걷거나 미술관과 박물관의 계단을 오르내리다 보면 종아리가 아프다는 것을 느끼고 잠시 다리를 쉬게 해줄 의자를 찾게 된다. 반면 마트나 백화점을 가면 판매를 도와주고 결제를 하는 경우 소비자에 대한 예의를 지키고 신속한 처리를 위해 거의 대부분 장시간 서서 일하게 된다. 우리는 박물관을 관람할 때 관람객이 쉴 수 있는 의자가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마트에서 계산할 때 계산원이 앉을 수 있는 의자는 따뜻한 눈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책에서는 이를 ‘공감 격차’로 설명하고 있다. 박물관의 의자는 공감이 쉽게 되는 반면 백화점의 의자는 공감이 쉽사리 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테니스를 치고 키보드를 두드리면 팔목이 아프다는 것에 공감하지만 경비와 초병이 장시간 부동의 자세로 서 있으면 발과 허리가 아프다는 것에 공감하기가 어렵다.

공자와 묵자를 사상가로만 바라보면 그들이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정을 쏟으며 흘렀던 땀과 고통을 놓치게 된다. 백화점을 이용하며 고객의 질 높은 대우만을 앞세우면 그 대우에 가려서 잘 드러나지 않는 눈물과 고통을 간과하게 된다. 한 해의 한 달을 남겨둔 시점에서 빠듯하게 살아온 삶에 박차를 가할 게 아니라 여유를 주고, 편하게 느껴온 노동에 더 높은 질을 요구하기보다 그 안에 담긴 고통에 공감하는 인간애를 발휘해보자. 그러면 연말이 느긋하고 따뜻해지지 않을까.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