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국제육상연맹 "러시아 국제대회 출전금지 연장"

"러정부·육상동맹 반도핑 의지 없어 징계해제 불가"

국기·국가 사용 못해…개인 자격으로는 출전 가능

서배스천 코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회장이 27일(한국시간) 모나코에서 열린 IAAF 이사회에서 “러시아 육상에 부과된 국제대회 출전 금지 처분을 유지하겠다”고 밝히고 있다./연합뉴스서배스천 코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회장이 27일(한국시간) 모나코에서 열린 IAAF 이사회에서 “러시아 육상에 부과된 국제대회 출전 금지 처분을 유지하겠다”고 밝히고 있다./연합뉴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러시아에 내린 육상 국제대회 출전 금지 징계를 연장키로 했다.

IAAF는 27일(한국시간) 모나코에서 이사회를 열고 러시아를 향해 반도핑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으며 징계를 해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최근 러시아를 방문한 도핑 태스크포스(TF)는 “매우 실망스러운 수준이다. 러시아 정부와 육상동맹은 반도핑 의지가 없다”고 IAAF 이사회에 보고했다. 서배스천 코 IAAF 회장은 “육상이 정의로운 스포츠가 됐으면 한다”며 “러시아 육상에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러시아 육상은 2015년 11월 ‘모든 선수 국제대회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았다. 러시아 육상 선수가 조직적으로 금지약물을 복용하고 도핑 테스트 결과를 은폐한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에 열린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개인 자격 출전’을 허용해 미국에서 3년 이상 거주한 여자 멀리뛰기 선수 다리야 클리시나만이 참가했다. 이후 IAAF는 ‘개인 출전 자격 요건’을 완화해 러시아 육상 선수에게 대회 출전 길을 터놓고 있다.

관련기사



올해 8월 열린 런던 세계육상선수권에서는 러시아 선수 19명이 개인 자격으로 참가했다.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면 선수 유니폼에 러시아 국기를 달 수 없다. 메달을 따도 러시아 국기 게양은 없다. 국가도 나오지 않고 메달 집계도 ‘중립국’으로 분류된다.

IAAF 이사회에서 징계 연장 결정을 내리면서 러시아 육상은 2018년 3월 영국 버밍엄에서 열리는 세계실내육상선수권대회까지 출전이 금지됐다. 개인 자격 참가는 가능하다. IAAF는 “도핑 전력이 없는 러시아 선수가 도핑 스캔들과 무관한 코치와 훈련하고, 호르몬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선수생체여권’에서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으면 출전 심사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