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둘째 프로젝트' 부산시, 출산장려에 5년간 2.8조 투입

서병수 시장 '아이·맘 부산' 플랜

시립 키즈카페 20곳 만들고

둘째 이후 자녀 출산지원금 인상

입학축하금·보육료 등 지급도

일·가정 양립지원센터 설치로

'독박육아' 막을 환경 조성 노력

2815A33 부산 출산


“한 아이는 아쉬워요. 적어도 둘은 있어야죠.” 부산시가 둘째 자녀의 출산을 유도하는 출산장려시책을 수립 시행한다. 합계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나 셋째 자녀보다는 현실적으로 ‘낳을까 말까’를 고민하는 둘째를 타깃으로 해야 된다는 인식에서다. 또 엄마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하고, 엄마 혼자의 ‘독박육아’가 아닌 엄마·아빠의 ‘함께 육아’가 이뤄져야 한다는 사실도 강조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27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8년부터 향후 5년간 출산장려시책인 ‘아이·맘 부산’ 플랜에 시비 9,632억원 등 국·시비 총 2조7,735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이 기간을 인구절벽 위기를 극복하는 골든타임으로 보고 만0∼6세까지 사회적 양육지원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현재 1.10명 수준인 합계출산율을 2022년에 1.4명 이상으로 끌어올리려는 생각이다.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내는 동시에 출산 장려 분위기를 만들어 둘째 이후 자녀 출산을 유도하는 게 골자다. 구체적인 출산 친화 정책으로는 키즈카페와 일·가정 양립 지원센터, 부산 범시민연대 등을 꼽을 수 있다. 먼저 시비 등을 들여 66㎡에서 넓게는 330㎡ 규모로 설치하는 키즈카페는 부모들이 부담스러운 비용을 내고 놀이방이 있는 음식점을 이용하지 않게끔 놀이방, 휴식공간, 회의공간 등이 마련된다. 부산시는 키즈카페를 2022년까지 총 20개소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로 우선 내년에 2개소를 신설한다.


‘일·가정 양립 지원센터’도 설치 운영한다. 센터는 출산율 제고와 일·가정 양립은 떼어낼 수 없는 가치이자 민관이 힘을 모아 해 나가야 할 일이라는 점에서 이를 위한 정책의 발굴, 가정친화 환경조성, 돌봄지원, 여성일자리 지원 등의 사회환경 조성을 수행한다.

관련기사



특히 출산장려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관장, 상의회장, 시민단체 등 20여명으로 이뤄진 ‘아이 낳기 좋은 부산 범시민연대’도 출범한다.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둘째 이후 자녀에게 책가방, 학습교재 등을 사는 비용으로 20만원을 지원하는 입학축하금을 신설했다.

또 정부가 지원하지 않는 시설을 이용하는 둘째 자녀를 놓은 부모 4,000여명의 부담금 중 차액보육료로 30%를 지원하고 현재까지 둘째 출산 시 20만원, 셋째 120만원을 지급했던 출산지원금을 ‘아주라 출산지원금’으로 확대해 둘째 50만원, 셋째 150만원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결혼 전 건강검진, 산전·산후 임산부 케어, 기형아 검사 등 영아기를 지원하는 ‘아가·맘 원스톱센터’와 유아기를 지원하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신생아 집중치료센터’ 등의 사업을 보다 확대하거나 신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2022년까지 국공립·공공형 어린이집 250개소를 확충해 공보육 비율을 41%까지 올리고 행복주택 공급 목표의 50%와 매입·전세 임대주택의 30%를 신혼부부에게 우선 배정할 방침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