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일할곳도…일손도…쪼그라드는 제조업

작년 사업체·종사자 증가세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

핵심 전자·자동차·조선 업종은

기업·고용·생산 마이너스 삼중고

"최저임금 인상에 위기 심화될 듯"

2815A02 하단2


이달 고용정보원은 전북에서 전년과 비교해 10월 기준 2,1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는 발표를 내놓았다.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현대중공업의 군산조선소 가동이 중단됐던 것이 원인이었다. 전북뿐만이 아니다. 조선업이 밀집된 울산은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28.9%(1만5,100명), 경남에서는 21.1%(2만1,900명) 각각 감소했다. 위기를 맞고 있는 제조업이 국민경제에 얼마나 직격탄이 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가장 좋은 사례가 바로 조선업이다.

우리 경제의 주춧돌인 제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해 광업·제조업 분야의 사업체와 종사자 증가세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내년부터 최저임금이 급격히 인상되면 제조업의 위기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기준 광업·제조업조사(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광업·제조업 사업체 수는 6만9,405개로 전년 대비 0.2%(136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같은 증가율은 사업체 수가 뒷걸음질했던 2009년(-0.8%) 이후 최저치다.

기업 수 증가가 정체되면서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력도 사라지고 있다. 지난해 제조업 분야 종사자 수는 297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불과 0.6%(1만8,000명) 증가했다. 일자리가 뒷걸음질했던 2009년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생산량을 나타내는 출하액은 2013년(-1.0%) 이후 내리 4년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광업·제조업의 지난해 출하량은 1,418조4,7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했다.


특히 전자와 자동차·조선업종은 기업 수와 고용, 생산이 모두 줄어드는 ‘트리플 마이너스’에 이미 접어들었다. 이들 3개 업종은 전체 광업·제조업 사업체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5%에 불과하지만 고용은 29.9%, 생산(출하액)은 35%를 담당하는 우리 제조업의 핵심축이다.

관련기사



가장 많은 일자리를 거느리면서 생산과 부가가치 창출력도 1위인 전자 업종은 지난해 사업체 수가 전년 대비 5.5% 감소했다. 종사자 수는 4.3%(1만6,600명), 출하액도 3.3%(7조9,600억원) 줄었다. 부가가치는 답보 상태다. 그나마 올해 들어서는 반도체가 ‘초호황’세를 구가하고 있지만 그 외의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의 전자업종 담당자는 “반도체 수요가 전자업종을 받치고 있기는 하지만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른 산업이기도 하고 (미국의 세탁기 세이프가드 등) 통상 이슈도 있어 상당한 위험에 놓여 있는 상황”이라며 “혁신성장 전략을 통해 신상품이나 신기술을 개발해 (성장의) 트리거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만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자와 함께 제조업의 맏형 격인 자동차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지난해 자동차 업종에서는 사업체가 87개(-5.2%), 일자리는 1만6,700개(-9.2%)가 사라졌다. 출하액도 199조370억원에서 196조7,720억원으로 1.1% 감소했다. 특히 자동차 업종은 지난해 부가가치마저 전년 대비 뒷걸음질했다. 올해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여파로 자동차 및 부품(HSK 코드단위 87)의 중국 수출은 41.9% 감소했다.

구조조정 국면이 지속되는 조선업은 회복세를 기약하기 힘든 상황이다.

문제는 내년에도 사정이 나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은 내년 최저임금 상승이 이 같은 제조업의 위기에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연은 이날 2018년 경제전망을 통해 “(최저임금 인상은) 주력업종 중 자동차·조선·일반기계 등의 임금 상승 등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