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지하철역 성형광고 2022년까지 없앤다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광고 혁신방안' 추진

총량제 도입해 광고 2022년까지 15% 줄여

시청·신설동 등 광고없는 역 40곳으로 확대

상업 광고 대신 회화 작품이 들어선 1호선 시청역/연합뉴스상업 광고 대신 회화 작품이 들어선 1호선 시청역/연합뉴스


2022년부터 서울 지하철역에서 ‘성형광고’가 모두 사라진다.

서울교통공사는 성형광고 전면 금지와 광고 총량 15% 감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지하철 광고 혁신 방안’을 마련해 추진 중이라고 27일 전했다. 공사는 “지하철 광고는 낮은 운임 수준을 지탱했지만 물량이 지속해서 늘어나 광고 공해라는 지적이 있었다”며 “특이 성형광고는 외모지상주의와 성차별적인 시선을 조장한다는 부정적 인식이 크고, 2015년부터 젠더 간 갈등 이슈가 부각되며 관련 민원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지하철 1~8호선에 설치된 광고 수는 총 14만 2,785건이었다. 수익으로 따지면 445억원에 달한다. 광고 관련 민원은 지난해 1~4호선에서 1,182건 제기됐다. 1,080건(91.4%)은 성형 혹은 여성 관련 광고 때문이었다.


현재 서울 지하철 광고는 업종별로 의료·건강 25.4%, 성형 1.5%, 교육 12.7%, 문화·예술 6.9%, 공공단체 11.3% 등으로 이뤄져 있다. 기타 업종은 42.2%다. 공사는 업종별 광고 비중을 토대로 △상업 광고 물량 축소 △문화·예술 광고 확대 △성형광고 금지 △광고 도안 심의 강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관련기사



공사는 우선 광고총량제를 도입해 현재 14만 3,000건가량인 광고를 약 15% 줄여 2022년까지 12만건으로 줄인다. 공사는 “단계별로 광고 매체를 줄인 뒤 총량을 지속해서 관리하겠다”며 “현재 지나치게 많이 설치된 디지털 매체는 사업성이 높은 일부를 빼고는 계약이 끝나면 과감히 철거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광고를 아예 없앤 상업광고 없는 역을 올해 10곳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40곳으로 늘린다. 올해는 1호선 시청·신설동, 2호선 상수·신설동·양천구청, 3호선 경복궁·안국·을지로3가, 5호선 김포공항·신정역에서 광고를 없앤다.

민자 스크린도어 운영 사업자인 유진메트로컴과 협의를 거쳐 스크린도어·대합실 조명 광고 등에서 문화·예술 광고를 대폭 늘린다. 특히 성형광고는 광고 대행사와 신규 계약을 맺을 때부터 전면 금지한다. 광고 업무 경험자 등이 포함된 내부 도안심의위원회가 꾸려져 광고 내용 심의도 강화한다. 2022년까지는 지하철역 내에서 성형광고를 모두 없앨 계획이다. 공사는 “지하철 광고에서 상업 광고를 과감하게 감축하고 문화·예술·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