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가계대출금리 3.50% … 2년 9개월 만에 최고치

대출자 73%가 변동금리

금리 고공행진 땐 부담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기대감이 선제적으로 반영된 탓에 지난달 은행 신규 가계대출 금리가 2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더구나 한은의 11월 금융통화위원회(30일)를 코앞에 두고 시장금리가 또 한 번 꿈틀거리고 있는데다 내년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예상되면서 대출금리도 급속히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한은이 발표한 ‘2017년 10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 금리는 연 3.50%로 전월보다 0.09%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2015년 1월(3.5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폭도 올해 1월(0.1%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와 연동된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 변동금리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은 훨씬 커지게 됐다.

특히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한은이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깜짝 인하하면서 소폭 떨어졌지만 이후 기준금리 동결과는 무관하게 급증했다. 1년 5개월 사이 IBK기업은행은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분할상환식) 평균 금리가 2.74%에서 3.55%로 0.81%포인트 뛰었고 KEB하나은행은 같은 기간 2.92%에서 3.50%로 올랐다.


더욱이 고정금리 대출자 비중은 27.3%로 2014년 2월(23.8%) 이후 3년8개월 만에 가장 낮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반대로 얘기하면 금리변동에 연동되는 변동금리 대출자 비중이 73%에 달하고 이는 금리상승이 곧장 가계부채 상환 부담으로 이어진다는 얘기다. 한은에 따르면 시장금리 1%포인트 상승 시 가계 이자 부담은 약 9조원 늘어난다. 9월 말 기준 국내 가계부채 총액은 1,419조1,000억원이다.

관련기사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 맞춰 시중은행들도 경영전략을 새로 수립하는 분위기다. 시중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는 “내년 경영전략을 짜는 데 몇 차례의 금리 인상이 이뤄질지 고려하고 있고 우선 30일 금통위를 결과를 지켜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금융당국이 가산금리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어 시장금리가 그대로 변동 대출금리에 반영될지는 미지수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자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가산금리 산정 구조를 강도 높게 모니터링할 방침이어서 속도 조절이 이뤄질 수도 있다.

하지만 내년 한은이 1~2차례 추가 인상할 경우 대출금리에도 그대로 반영돼 금융당국이 가산금리를 누른다고 전체적인 대출금리 상승세가 잡히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시기나 속도의 문제일 뿐 금리 인상 기조가 당분간 지속되는 만큼 선제적으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임형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은이 내년에도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한다면 시장금리도 이를 반영해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지속 가능성 여부에 따라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사이에서 잘 선택해야 하고 기업 입장에서도 선행 판단이 어렵기는 하지만 미리미리 회사채를 발행해 싼 금리로 조달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황정원·이주원기자 garden@sedaily.com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