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무어사이드 원전 수주, 한전 결정만 남았다… 백운규, 英 에너지 장관과 협력 각서 서명

英, "한국 기업 사업에 적극 참여해주기 희망"

원전 해체분야 인력교류·정보교환 등 협력도 강화

한전이 아랍에미리트(UAE)에 처음으로 수출에 성공한 바라카원전 전경. /사진=한국전력한전이 아랍에미리트(UAE)에 처음으로 수출에 성공한 바라카원전 전경. /사진=한국전력


정부가 한국전력공사의 무어사이드 원전 수주를 위해 영국 정부와 장관 간 협력 각서를 체결하는 등 전방위 지원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백운규 장관이 지난 2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그레그 클라크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BEIS) 장관을 만나 ‘원전 협력을 위한 양국 장관 간 각서(Memorandum)’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각서는 양국 정부가 한국전력·한수원의 영국 신규 원전 사업 참여을 지원하고 원전 사업에 협력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한전은 현재 영국 무어사이드 신규 원전 사업 참여를 추진하고 있다. 무어사이드 원전 건설 개발사인 누젠은 약 3GW 규모의 신규 원전을 지을 예정이다. 한수원도 영국에서는 원전 건설사업을 추진 중인 ‘호라이즌 뉴클리어 파워’로부터 지분 인수 제안을 받고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 호라이즌은 2012년 일본 히타치(日立)가 인수한 회사로, 영국에 5.4GW 규모(4기) 원전을 건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백 장관은 클라크 장관에게 우리나라 기업의 우수한 기술력과 시공 역량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정부의 원전 수출에 대한 명확한 의지를 전달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특히 백 장관은 한국 원전의 핵심 경쟁력으로 △40여 년간 국내 및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에서 축적한 풍부한 원전 건설·운영 경험과 전단계에 걸친 견고한 공급망 △정해진 기한 내 사업 관리 능력 △유럽사업자요건(EUR) 인증 취득으로 입증된 높은 안전성 및 기술력 등을 설명했다.


이에 클라크 장관도 우리나라의 원전 기술력과 역량을 잘 알고 있고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의 우수한 원전 기업이 영국 신규 원전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백 장관은 GDA(노형설계평가), CfD(발전차액보조) 등 사업 수익성과 리스크 검토를 위해 양국 차원에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에 양측이 인식을 같이하고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정보를 교환하자고 제안했다.

또 양국 장관은 영국이 장점을 가진 원전 해체 분야 협력에 관해서도 이야기를 나눴다. 백 장관은 원전 해체 초기 단계에 있는 우리나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영국과 인력교류·정보교환 등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했고, 클라크 장관도 이 같은 협력을 적극 환영하며 양국 정부 간의 협의 내용을 메이 총리에게 보고하겠다고 답했다.

산업부는 이번 양국 장관 간 협의를 통해 원전 건설부터 해체까지 전주기 원전 협력 추진을 위한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양국은 원전 분야 협력을 위해 한전과 한수원의 영국 원전 사업 참여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이로써 우리 기업의 영국 내 원전 사업 참여를 위한 양국 정부 차원의 확실한 협의 채널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