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다시 미사일 도발하나…미사일기지 움직임 감지

韓-美-日, 대북 미사일 감시태세 강화

최근 한국과 미국, 일본이 대북 미사일 감시태세를 강화했다./연합뉴스최근 한국과 미국, 일본이 대북 미사일 감시태세를 강화했다./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9월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을 발사한 후 70여 일째 도발을 감행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 일본이 최근 대북 미사일 감시태세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28일 정부의 한 소식통은 “통상적으로 미사일을 발사하기 전과 동일한 징후들이 최근 북한에서 감지돼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북 미사일 감시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전날에도 발사된 미사일 궤적을 추적하는 레이더를 가동하고 미사일 기지 내에서 통신활동이 급증하는 등의 이상 징후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군을 포함한 미국과 일본도 북한의 움직임을 포착하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면서 3국이 동시에 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일본 정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준비를 의심하게 하는 전파 신호를 포착해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하기도 했다. 로버트 매닝 미국 국방부 대변인도 27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 가능성을 “지속해서 예의주시할 것”이며 “한미동맹은 북한의 어떠한 도발이나 공격에도 대응할 능력이 있고 앞으로도 굳건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우리 정부의 한 소식통은 “최근 북한 미사일 기지에서 움직임이 분주한 것은 사실”이라며 “어제와 같은 이상 징후들이 자주 식별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실제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려는 징후인지 다음 달 1일부터 시작하는 동계훈련을 준비하는 과정인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군 당국도 북한이 동계훈련에 돌입하기 전 1∼2주 전부터 미사일 등 포병부대의 훈련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 미사일이 탑재된 이동식 발사차량(TEL)의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았지만 미사일 기지에서 이상 징후들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는 것이다.

군 일각에서는 동해상에서 훈련을 실시했던 미국 항공모함 3척이 한반도 해역을 빠져 나간 현 상황을 북한이 노릴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미는 다음 달 4일부터 8일까지 F-22와 F-35A, F-35B 스텔스 전투기 등 양국 군 항공기 230여대를 동원해 대규모 연합공중훈련을 벌일 전망이다. 군의 한 관계자는 “우리 군은 북한이 언제든지 도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한미 공조하에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