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챗봇 스타트업 '플런티' 인수

국내 스타트업 M&A는 처음

인공지능 비서 빅스비에 활용

김강학 플런티 대표. /사진제공=플런티김강학 플런티 대표. /사진제공=플런티


삼성전자(005930)가 대화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플런티(Fluenty)를 인수했다. 지난 2015년 1월에 설립된 플런티는 자동 답변 솔루션 등 대화형 AI 관련 특허를 12개 보유한 업체다. 삼성전자가 국내 스타트업을 인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플런티 창업자들은 다음·LG전자·KT 등의 데이터 분석 및 AI 개발에 경험이 있는 엔지니어들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국내 최고급 AI 기술인력을 확보하고 자사 AI 솔루션 ‘빅스비’ 기능 강화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플런티 최초 투자사 퓨처플레이는 삼성전자의 플런티 인수 사실을 발표했다. 김강학 플런티 대표를 포함해 팀원 10명 중 9명이 삼성전자 직원으로 지난주부터 출근했다. 나머지 1명인 황성재 퓨처플레이 이사는 자신이 공동 창업한 퓨처플레이에 남았다. 황 이사는 “대화형 AI인 챗봇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자연어 처리 기술력이 플런티의 경쟁력”이라며 “AI 비서 ‘빅스비’ 등 삼성전자가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쪽에 무게를 두는 시프팅(가치이동) 전략과도 맞아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삼성전자와 플런티의 인연은 지난해에 시작됐다. 플런티가 삼성전자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크리에이티브 스퀘어’에 선발되면서 자연스럽게 협업이 이뤄졌다. 1년간의 협업 후 올해 5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AI팀으로의 인수 논의가 진행됐고 이번에 최종 결실을 맺었다. 대기업은 스타트업을 인수하면서 기술과 인력을 확보하고 관련 투자사의 성공적인 엑시트를 이끄는 성공 사례로 꼽히게 됐다.

국내 대화형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 스타트업 플런티가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에 인수되면서 삼성전자에 입사하게 된 플런티 직원들. 김강학 플런티 대표를 포함해 총 10명이다. /사진제공=플런티국내 대화형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 스타트업 플런티가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에 인수되면서 삼성전자에 입사하게 된 플런티 직원들. 김강학 플런티 대표를 포함해 총 10명이다. /사진제공=플런티


창업자인 김 대표는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에서 머신러닝,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전공하고 다음과 위브랩에서 데이터 분석가로 근무했다. 공동창업자인 손정훈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통계학을 전공한 후 네이버와 카카오에서 머신러닝 기술자로 두각을 나타냈다. 이주완 기술담당자 역시 공동창업자로 카이스트를 졸업한 후 LG전자에서 머신러닝 기술자로 일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