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인 가구 소득, 4년 만에 가장 큰 폭 하락 '노령층-나홀로 청년'

고령화, 청년 실업 등의 영향으로 올해 3분기 1인 가구의 소득이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분기 1인 가구 소득은 167만 7천 원으로 1년 전보다 3.51%(6만 1천 원) 줄었다.


이는 2013년 4분기 3.54% 줄어든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해 4분기(-1.97%) 이후 4분기 연속 감소했는데, 1인 가구 소득이 4분기 연속 감소한 일은 금융위기 후폭풍을 맞은 2009년 1∼4분기 이후 8년 만에 최초.

가구원 수별로 보면 2∼4인 가구는 모두 소득이 늘었지만 5인 이상 가구(-0.98%)와 1인 가구만 소득이 감소했다.


이처럼 1인 가구 소득이 대폭 감소한 이유는 소득 항목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이 4.40% 줄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1인 가구 근로소득 역시 올해 1분기 1.48% 감소한 이래 3분기 연속 줄고 있는 상황.

이처럼 1인 가구 소득이 줄어든 것은 고령화로 인해 은퇴한 노령층 1인 가구 비중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청년실업이 계속되면서 혼자 사는 청년들의 소득도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지난해 인구주택 총조사를 보면 1인 가구의 가구주 연령대는 70세 이상이 17.8%로 가장 비중이 높았고, 30대(17.6%), 20대(17.2%) 등이 뒤를 잇고 있는 것을 전해졌다.

또 지난 3분기 가구주 연령별로 소득을 보면 30대 이하 가구 소득과 60세 이상 가구 소득은 각각 2.7%, 1.7% 늘었지만, 증가 폭으로 살펴보면 직전 분기보다 1.7%p, 0.2%p 하락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