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출산·육아 부담에…30대 기혼 여성 3분의 1이 경단녀

■통계청 2017년 상반기 지역고용조사

임금근로자 국민연금 가입률 0.6%p 하락…연금 받으며 일하는 노인 늘어

월급 100만~200만원 사회보험 가입률 70% 밑돌아

2017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2017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출산·육아 부담에 30대 기혼 여성 3명 중 1명이 경력단절여성(경단녀)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경력단절여성 및 사회보험 가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 905만3,000명 가운데 결혼이나 임신·출산, 육아 등으로 직장을 그만 둔 경단녀는 20.0%인 181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30대(30~39세)가 92만8,000명으로 절반(51.2%)가량을 차지했다. 특히 30대는 기혼여성 중 경단녀 비율이 33.8%에 달했다.

경력단절 사유는 결혼이 34.5%로 가장 많았고 육아(32.1%), 임신·출산(24.9%) 순이었다.


다만 전체 경단녀는 감소세다.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단녀 비율은 2014년 22.4%에서 2015년 21.8%, 2016년 20.6%로 꾸준히 줄고 있다.

관련기사



임금근로자(1,977만9,000명)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국민연금 69.6%, 건강보험 74.8%, 고용보험 71.9%였다.

지난해보다 국민연금만 0.6%p 하락했고 건강보험과 고용보험은 각각 1.2%p, 0.8%p 상승했다.

국민연금의 경우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가 연금을 받으면서도 재취업해 가입률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60대 이상 국민연금 가입률은 지난해 21.3%였지만 올해 7.5%로 폭락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국민연금 수급자는 직장을 다녀도 보통 연금에 가입하지 않기 때문에 가입률이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사회보험 가입률은 월평균 임금이 낮을수록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월평균 임금 100만 원 미만의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 가입률은 각각 11.8%, 17.4%, 16.1%로 모두 20%에 미치지 못했다. 반면 월평균 임금 400만 원 이상은 95.0%, 97.2%, 94.9%의 가입률을 보여 5~8배의 차이를 보였다.

세종=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