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초학력 못 미치는 중고생 늘었다

2017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기초학력 미달 비율 상승하고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하락

여성이 남성보다 성취도 높아

'전수에서 표집으로' 평가방식 전환도 영향

국어와 수학 실력이 기준치에 미달하는 중고등학생의 비율이 늘어나는 등 중등교육의 학업 성취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29일 발표한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보면, 고등학교 2학년의 과목별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국어 4.7%, 수학 9.2%로 각각 1.5%포인트와 3.9% 늘었다. 영어는 3.8%로 전년보다 1.3%포인트 떨어졌다.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국어 76.2%, 수학 76.9%, 영어 82.5%로 지난해보다 각각 7.9%포인트, 1.3%포인트, 3.5%포인트 하락했다. 중학교 3학년의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국어 85.2%, 영어 73.4%로 각각 4.9%포인트, 1.3%포인트 떨어졌으며 수학은 68.4%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취도가 높은 추세는 그대로 유지됐다. 중3과 고2, 국영수 전과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높고,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낮았다.


자기주도학습과 성취도간 연관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설문조사 결과 자기주도학습이 하루 평균 3시간 이상인 고등학생은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91.9%에 달했고, 1∼2시간 81.3%, 1시간 미만 72.7%, 전혀 하지 않는 않음 43.7% 순이었다.

관련기사



학업성취도 평가는 올해부터 전수조사에서 표집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전국 중3과 고2 학생 93만5,059명의 3%인 2만8,13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시도별, 학교별 평가결과는 공개되지 않는다. 교육부 관계자는 “시도별, 학교별 비교를 하지 않는 표집방식으로의 전환이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