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금리인상, 긴축시대 예고] 대출금리 어디까지 오를까?

단발성 금리인상 아냐...시장금리 더 가파르게 오를수 있어

조달비용↑ 주담대↓...은행 '경영상 이유' 가산금리 올릴듯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30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앞으로 대출받기가 더욱 까다로워질 전망이다. /연합뉴스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30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앞으로 대출받기가 더욱 까다로워질 전망이다. /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30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앞으로 대출받기는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가계대출 죄기로 대출받기가 까다로운 상황에서 대출금리마저 오르면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기준금리 인상이 이번 한 번에 그치지 않을 것이므로 기준금리 인상은 결국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박성욱 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은 “기준금리와 단기금리가 연동된 부분이 있어서 (은행 대출금리에) 영향이 안 갈 수가 없다”며 “이번 인상은 앞으로 금리 인상의 출발점이며, 금리 인상 속도에 따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금리 인상 외에 내년에도 많으면 3차례 정도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 정부의 부동산 가격상승과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정책 드라이브,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통화정책 정상화 등이 그 이유로 꼽힌다. 이렇게 되면 시장금리에 금리 인상 기대감이 선반영 됐다고 해도 추가 금리 인상 기대감에 시장금리는 더 가파르게 올라갈 수 있다.


은행이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가산금리도 대출금리를 올리는 요소다. 그동안 은행들은 시장금리가 올라갈 때 가산금리도 함께 올려 대출금리 인상 속도를 높여왔다. 그 결과 2∼3%대이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5년 고정대출)가 최근에는 최고 5%를 넘어섰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에서도 금융권이 과도하게 가산금리를 올리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다만, 시장금리가 올라가면서 은행의 조달비용이 늘어나고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도 둔화되면 은행들도 경영상의 이유로 가산금리를 올릴 수 있다. 이 경우 시장금리 상승과 가산금리 인상이 맞물려 내년에는 대출금리가 지금보다 1∼2%포인트 오를 수도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 눈치보기 때문에 가산금리를 올리기 쉽지는 않지만 타당한 이유가 있다면 올리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라며 “금리 인상 기조가 계속되면 대출금리는 더 가파르게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