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금리인상, 긴축시대 예고] 추가 금리 인상 시기는…물가·가계부채 속도 관건

시장의 예상대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한은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이상, 금리 정상화 기조는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관건은 금리 인상 속도다.


추가 금리 인상에 있어 한은의 가장 큰 고민은 견실한 성장에도 낮은 물가가 이어진다는 점이다.

관련기사



한은은 소비자물가가 전기료 인하에 따른 기저효과의 해소로 당분간 1%대 후반 수준을 보이다가 점차 목표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근원인플레이션율 역시 1%대 중반을 이어가다가 내년 이후 완만한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한은의 예상처럼 물가가 경기 회복세를 받쳐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10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달보다 1.8% 상승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년 같은 달 대비 1.3% 올랐다. 내수의 성장기여도가 높아지지 않는다면, 수요 측면의 근원물가 상승 속도도 더디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추가 금리 인상을 가늠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변수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다. 정부가 내놓은 가계부채 대책의 효과를 가늠해야 한다. 만약 정부의 강도 높은 가계부채 대책에 금리 인상이 더해지면서 실물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향후 금리 인상 속도는 좀 더 완만하게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