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계 에이즈의 날' 인권단체 "韓 감염인의 존엄 박탈하고 죽음 방조"

올해로 30주년을 맞는 ‘세계 에이즈(AIDS·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의 날(12월 1일)’을 앞두고 인권단체들이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인의 인권 보장을 일제히 촉구했다.

HIV·AIDS인권활동가네트워크·성소수자차별반대무지개행동 등은 30일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HIV 감염인 의료 차별·진료 거부 문제에 대한 정부 차원 대책을 마련하라”면서 “국가 차원의 에이즈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감염인을 차별하는 모든 제도를 폐지·금지하라”고 밝혔다.

에이즈는 HIV에 걸리면 발병할 수 있는 전염병으로, 신체 면역력·저항력이 저하돼 다른 질병에 쉽게 걸리는 상태에 노출되는 증후군으로 알려졌다.


198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에이즈가 보고됐을 때 감염 사례 환자 중 남성 동성애자들이 있었던 탓에 일종의 성병이나 동성애로 인한 질병.

관련기사



하지만 이후 연구에서 에이즈는 성관계로 인해 감염 위험성이 커질 뿐 동성애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인권단체들은 “세계 에이즈의 날이 30주년을 맞는 동안 한국 사회의 에이즈 혐오는 강화됐다”며 “한국은 사람을 살릴 일은 하지 않으면서 문란함, 불치병 같은 부정적 이미지로 HIV 감염인의 존엄을 박탈하고 죽음을 방조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들은 “유엔 에이즈(UN AIDS)는 ‘HIV 감염인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누릴 권리’를 얘기하지만 우리나라는 의료 차별·진료 거부 문제조차 해결되지 않고 있다”면서 “국립재활원조차 HIV 감염인이라는 이유로 시각장애 마비 환자를 거부했으며, 노인요양병원협회는 HIV 감염인의 입원을 거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