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 아파트 가격 7월말 이후 최대 상승폭

주거복지로드맵 발표로 거래는 뜸한 가운데

강남권 재건축, 성동구, 중구 등 개발호재로 뛰어



서울 아파트 값이 지난 한 주간 0.29% 올라 7월 말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30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1월 넷째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0.29%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7월 마지막주 상승률(0.33%)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서울 지역 아파트 거래는 크게 줄었으나 재건축에 따른 가격 상승 기대감이 높은 강남구(0.65%), 송파구(1.02%), 서초구(0.47%), 강동구(0.48%)를 중심으로 크게 올랐다.

개발 기대감이 높은 성동구(0.45%)는 금호·옥수·행당동 일대 아파트 중심으로 가격이 크게 올랐다. 서울시가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 계획을 최근 발표하면서 중구도 0.28% 뛰었다. 종로구 등은 역세권 직주 근접 수요로 상승했다. 동작구도 서리풀터널 개통 (2019년 예정)에 따른 교통여건 개선 기대감에 0.19% 올랐다.


전국적으로는 경상권 등에서 약세를 보이면서 평균 0.03% 올랐다.

관련기사



시도별로는 대전(0.08%), 전남(0.05%), 대구(0.05%) 등은 상승했고 경북(-0.24%), 경남(-0.15%), 충남(-0.12%), 울산(-0.09%) 등은 하락세였다.

세종은 거래는 급감한 반면 세종충남대병원 조성 등 호재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강세였고, 대구는 정비사업이 원활한 중구와 학군수요가 풍부한 수성구 등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반면, 부산은 입주예정물량 부담과 가격 상승 피로감으로 조정대상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했다.

한국감정원은 “양호한 입지여건 및 각종 호재로 대기수요가 풍부한 지역은 주거복지로드맵 등 추가 대책 예고로 인한 매도자 관망세 및 매물 부족으로 국지적인 상승세 보였다”며 “반면 울산과 충청·경상권 등 신규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은 공급 누적과 계절적 비수기로 인한 수요 감소로 하락하며 지역별로 차별화된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전세는 전국적으로 학군이나 접근성 양호한 선호지역이나 정비사업 이주수요 유입되는 지역은 국지적인 수급불균형으로 소폭 상승했으나 전반적으로 약보합세(-0.01%)였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