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4차산업혁명 청사진 나왔다-의료분야] 세계 첫 외부조종 캡슐내시경 내년 상용화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30일 발표한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이 제도적으로 안착되면 오는 2022년 우리 국민의 건강수명이 73세에서 76세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신약 후보물질도 지속적으로 발굴해 글로벌 바이오제약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청사진도 내걸었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질병의 예방에서 치료에 이르는 ‘스마트 의료산업’으로 현행 의료산업과 의료체계를 손질해 바이오를 선도적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병을 미리 예측하고 환자별 맞춤 치료를 제공하는 정밀의학을 2020년부터 구현할 계획이다. 정밀의학을 도입하려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영역으로 부상한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이 필수적인 만큼 AI 기술의 발전과 확산을 위한 규제 장벽도 대폭 걷어낸다는 복안이다.


신약 개발에 걸리는 주기와 비용을 단축해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지난 2015년 기준 85개에 불과했던 신약 후보물질을 2022년에는 129개로 늘려 글로벌 신약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방침이다. 독자적인 신약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정밀의학의 구현이 어렵고 장기적인 목표인 전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도 달성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관련기사



세계 최초로 ‘외부조종 캡슐내시경’도 내년까지 상용화한다. 초소형 의료용 로봇의 일종인 외부조종 캡슐내시경은 알약 크기의 캡슐내시경을 환자가 삼키면 의사가 외부에서 조종해 소화기관 내부를 정밀하게 진단하는 기술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조기 상용화에 성공하면 기대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시범사업 단계에 머물러 있는 ‘진료정보 온라인 교류’도 2022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 제도가 시행되면 더는 환자가 검사결과를 직접 가지고 병원에 다닐 필요가 없어진다. 환자의 진료비 절감은 물론 중복검사 등 불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사전에 차단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