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최종구 발언에…금융권 "경영침해" 연일 각 세워

"주주들이 실적 평가해 CEO 선임

지배구조 내부규범 준수해 시행"

'당국 코드인사 위한 압박' 논란도

최종구 금융위원장의 민간 금융회사의 부실한 지배구조 발언에 대한 파장이 수그러들지 않고 확산되고 있다. 특히 금융위 민간 자문기구인 금융행정혁신위원회도 금융권 최고경영자(CEO) 선임에 영향력을 미치는 회장(임원)추천위원회를 개선하겠다고 한 만큼 금융 당국이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편에 다시 개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 위원장은 최근 취재진과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CEO가 본인의 연임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이사회를 구성하고 CEO 유고 시 바로 승계하는 프로그램이 부재하다는 점을 비판했다. 또 유력한 승계 경쟁 후보를 인사 조치해 일찌감치 싹을 잘라 대안이 없도록 만드는 풍조에 대해서도 함께 지적했다.


금융권에서는 최 위원장의 발언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도 ‘팩트(사실)가 아닌데 공개 비판한 것은 잘못’이라며 반발하는 분위기다. 실제 금융지주는 관련법에 따라 내부적으로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만들어 잘 시행해오고 있는데 “왜 CEO 선임 과정에 문제가 있는 듯이 취급을 받아야 하느냐”고 주장하고 있다. 금융지주 계열사 대표 등을 맡긴 후 철저한 경영 성과 등을 검증해 자체 승계프로그램이 작동되고 있는데 최 위원장이 이를 간과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금융지주들은 3년 전부터 임추위 상설기구 전환 등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반영한 이사회 정관을 만들어온데다 지난해 8월 금융회사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시행에 맞춰 CEO 경영승계 관련 내부규정 등도 갖추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 위원장의 발언이) 무엇을 더 어떻게 하라는 것인지 명확히 알 수가 없다”고 토로했다.

관련기사



일부에서는 정부가 금융회사 CEO 선임에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감사 등에 낙하산을 내려보내는 것을 막기 위해 이사회의 독립성을 강화시켜왔는데 이제는 이사회의 독립성이 강해져 외부 입김이 차단되면서 거꾸로 내부 인사들끼리 지배구조를 담합하고 있다는 이상한 논리로 공격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과거처럼 당국의 입맛에 맞는 인사를 앉히는 게 어렵게 되자 공개 압박하고 나선 게 아니냐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임추위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는 원론에는 공감한다”며 “자칫 최 위원장의 발언이 민간 금융회사의 자율경영을 침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CEO 선임에 영향을 미치는 이사회 구성은 주주총회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주주의 고유 권한”이라며 “주주권한과 이사회 의사결정을 인정하는 것은 자본주의의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금융회사 지배구조는 민감한 사안으로 세심하게 다뤄야 하는데 최 위원장이 자신의 속내를 거리낌없이 발언한 것을 놓고 적절성 논란도 일고 있다. 일부에서는 ‘다른 배경’이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