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정부 ‘청년 일자리 대책회의’ 신설

문 대통령, 수석보좌관회의 주재

"생산가능인구 감소, 반도체 중심 성장 등이 취업자 증가 제약할 전망"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굳은 표정으로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굳은 표정으로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청년 일자리 대책회의(가칭)’을 신설해 청년 실업난 개선에 나선다.

4일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반장식 일자리수석이 ‘최근 일자리 상황 점검 및 대응방향’에 대해 보고했고 토론이 이어졌다.


우선 정부는 청년 일자리 대책회의를 별도 개최해 청년 일자리 여건을 종합 평가하고 대응 방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주력하기로 했다. 또 일자리 사업이 내년 초부터 바로 집행될 수 있게 범정부적인 재정집행 준비체계를 조기 가동하고 부처별 일자리 과제 추진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구조적으로 어려운 환경이지만 청년 등의 고용애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부문별 일자리 대책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체감성과를 극대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날 참석자들은 현재의 고용여건이 녹록지 않다고 평가했다. 박 대변인은 “참석자들이 수출증가, 추가경정예산 집행 등으로 성장률이 3% 이상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취업자 증가는 둔화하고 특히 청년층은 20대 후반 인구가 크게 늘고 구직활동이 활발해지며 체감실업률이 상상하는 것에 주목했다”고 전했다. 박 대변인은 “앞으로 예산·세제·정부기관평가 등 일자리중심 국정운영의 성과 가시화, 공공부문의 채용 확대, 평창올림픽 및 외국인관광객 증가 등이 고용여건을 개선하겠지만, 생산가능인구 감소, 수출 및 반도체 등 자본집약 부문 중심의 성장이 취업자 증가를 제약하고 지표상 청년실업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청년, 여성, 과학기술인력, 건설인력 등 분야별 대책과 혁신성장 선도 프로젝트들을 일자리창출과 연계하여 실효성 있게 추진하고, 일자리를 많이 늘린 기업에 ‘고용탑’을 신설·수상하는 등 모범사례 및 일자리창출 분위기 확산 방안 등이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