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완도 지주식 김 양식,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

전남도는 ‘완도 지주식 김양식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 제5호로 지정됐다고 5일 밝혔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해양 경관과 어업 생태계, 전통어업, 해양문화 등 어촌의 중요한 가치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해 2015년부터 지정하고 있다.


첫 해인 2015년 제주 해녀어업, 보성 뻘배어업, 경남 남해 죽방렴어업이 지정됐고, 2016년에는 신안 갯벌 천일염업이 지정된데 이어 올해 완도 지주식 김양식어업이 지정됐다.

전남도는 전국 5개 국가중요어업유산 가운데 3개를 차지해 전국 제1의 해양수산도로서의 위상을 높였다.


완도 지주식 김 양식은 갯벌에 지주목을 세우고 발을 설치해 김을 기르는 방식이다. 썰물 때 물이 빠지는 갯벌의 특성상 다른 방식으로 양식하는 김에 비해 일조량을 확보하기가 쉽다.

관련기사



지주식 양식 방법으로 김을 기르면 일반적 부류식 양식에 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나 생산되는 김의 맛과 향, 색깔 등이 더 뛰어나다.

현재 완도 지역 청용리, 가교리, 봉명리 3개 마을의 24개 어가에서 전통 방식을 계승해 지주식 김 양식을 하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3년간 총 7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효율적으로 관리·보존하고 계승·발전시킬 수 있다.

양근석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도내 곳곳에 흩어진 유무형어업 자산들을 발굴해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이 확대되도록 하겠다”며 “어업 유산 지정을 계기로 어촌방문객이 늘고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무안=김선덕기자 sdkim@sedaily.com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