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공유경제 사업 시동 '카풀' 나서는 현대차

럭시와 공동 모빌리티혁신 연구

공유경제시장 주도권 확보 나서

현대자동차 측이 5일 카풀 매칭을 시연하고 있다. 현대차는 카풀 서비스 분야 선도 스타트업인 럭시와 손잡고 카풀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 측이 5일 카풀 매칭을 시연하고 있다. 현대차는 카풀 서비스 분야 선도 스타트업인 럭시와 손잡고 카풀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측이 5일 카풀 매칭을 시연하고 있다. 현대차는 카풀 서비스 분야 선도 스타트업인 럭시와 손잡고 카풀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 측이 5일 카풀 매칭을 시연하고 있다. 현대차는 카풀 서비스 분야 선도 스타트업인 럭시와 손잡고 카풀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측이 5일 카풀 매칭을 시연하고 있다. 현대차는 카풀 서비스 분야 선도 스타트업인 럭시와 손잡고 카풀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 측이 5일 카풀 매칭을 시연하고 있다. 현대차는 카풀 서비스 분야 선도 스타트업인 럭시와 손잡고 카풀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가 카풀(car pool) 사업을 본격화한다. 카풀 사업은 빅데이터와 공유경제 부각과 함께 유망해진 사업 영역이어서 현대차가 이 분야에서 어떤 시너지를 창출할지 주목된다.

현대차는 사내 미래 모빌리티 연구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아이오닉’이 카풀 서비스 기업 ‘럭시(LUXI)’와 공동으로 카풀 알고리즘과 시스템 등 모빌리티 혁신 기술을 본격 연구한다고 5일 밝혔다.


럭시는 국내 카풀 서비스 분야 선도 스타트업으로 등록 차량 20만대, 회원수 78만명을 보유하고 있다. 2016년 사업 시작 이후 총 400만건 이상 카풀 매칭을 성사시켰다. 현대차는 럭시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지난 8월 50억원을 투자했다.

관련기사



현대차 측은 “럭시와의 공동연구는 공유경제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쌓고 더 나아가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역량과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현대차는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등의 기술을 공유경제와 결합해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통합적 대응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차와 럭시는 이번 협력의 첫 사업으로 ‘카풀 이웃으로 내차 만들기’라는 이름의 신규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을 시작했다. 100명의 참여자들은 현대캐피탈을 통해 리스로 ‘아이오닉 하이브리드’를 산 뒤 출퇴근 시 카풀 서비스를 제공해 번 돈으로 차 리스료를 상환하게 된다. 현대차 측은 “출퇴근 길 빈 좌석을 공유하는 것만으로 수익을 내 그 돈으로 차 리스료를 값을 낼 수 있는 모델”이라면서 “서비스 운영사와 고객 모두 윈윈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기대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현대차가 럭시와 공동개발한 ‘스마트 카풀 매칭’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운전자의 출퇴근 이동 패턴을 분석한 뒤 스마트폰을 통해 접수된 카풀 탑승객의 이동 니즈를 결합해 가장 효율적인 동승 그룹을 편성하는 시스템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협업을 통해 차량 이동 데이터 활용 방안, 공급자와 수요자의 매칭 알고리즘, 공유경제 운영 플랫폼 등을 면밀히 연구해 새로운 모빌리티 비즈니스 개발 역량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