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남성복, 정장을 벗고 캐주얼 입다

기업 복장 자율화로 정장수요↓

캐주얼 비중 확대로 대응 나서

알파카 등 소재 차별화도 눈길

# LF(093050)의 남성복 브랜드 마에스트로는 지난 2009년만 해도 정장과 캐주얼 상품 비중을 7대 3 정도로 운영했다. 하지만 올해는 이와 정 반대다. 정장과 캐주얼 비중이 4.5대 5.5로 사상 첫 캐주얼 상품을 더 많이 출시한 것이다. 이 회사 뿐만이 아니다. 현재 패션 업계는 남성복 시장에서 캐주얼 비중을 크게 늘리며 줄어드는 정장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마에스트로의 남성 캐주얼./사진제공=LF마에스트로의 남성 캐주얼./사진제공=LF





남성복 시장에서 정장이 사라지고 있다. 패션회사들은 올 가을·겨울 시즌에 알파카, 가죽, 스웨이드 등 소재 차별화에 주안점을 둔 ‘더 캐주얼한 남성복’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삼성물산(000830) 패션부문의 갤럭시는 알파카 소재의 재킷과 코트의 판매가 올 가을·겨울 시즌 전년 대비 15% 신장했다. 갤럭시는 이번 시즌에 네이비 컬러와 와인 컬러의 조합으로 캐주얼한 외관을 강조한 ‘부클레 재킷’과 화사한 스카이 블루 윈도우 페인 체크가 세련된 ‘부클레 재킷’ 등을 출시했다.

빨질레리는 안감에 패딩 충전재와 이태리 페를라(FERLA)사의 베이지와 아이보리 컬러의 알파카 코트를 선보였다. 이 외에 알파카와 모헤어가 혼방된 헤링본 소재의 체스터 코트는 물론 스카이 블루, 레드, 베이지 재킷 등을 출시했는데 이들 상품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이상 신장했다.


알파카 뿐 아니라 캐주얼 한 느낌을 더하는 가죽 아이템의 매출 신장률도 눈에 띈다. 빨질레리의 대표 가죽 상품인 블루종과 코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늘었다. 빨질레리의 무스탕 매출은 같은 기간 15% 이상 신장했다.

관련기사



갤럭시 알파카 소재../사진제공=삼성물산 패션부문갤럭시 알파카 소재../사진제공=삼성물산 패션부문


0615A18 남성 출근복 착장 형태


신세계인터내셔날에서 수입·판매하는 맨온더분은 이번 시즌 캐주얼복을 원하는 남성들을 겨냥해 스웨이드 소재를 적용한 4가지 스타일의 재킷과 점퍼를 출시했다. 이 중 두 가지 제품은 완판되는 기록을 세웠다. 다른 제품들도 70% 이상 판매 됐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남성복 시장에서 캐주얼 바람이 거센 이유는 기업의 복장 자율화와 무관하지 않다. 삼성패션연구소 조사결과 2000년 초반까지 남성 출근복 가운데 80%를 차지했던 정장은 지난해 비중이 40%로 줄어들었다. 여기에 캐주얼 복장을 선호하는 3040대의 시장 영향력이 세지면서 남성복 캐주얼화를 이끌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현진 삼성물산 패션부문 갤럭시 수석보는 “남성복의 캐주얼화 영향으로 알파카 등 캐주얼 한 느낌을 더하는 차별화된 소재에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