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국민 3명 중 2명 “북방경제협력, 경제 활성화에 도움”

10명 중 4명 "역대 정부 북방경협 성과 잘 모르겠다"

북방경제협력위원회, 대국민 설문조사 발표



국민 3명 중 2명은 정부의 북방경제협력 정책이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응답했다.

6일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가 최근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등 유라시아 국가와의 경제협력이 우리 경제에 어느정도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도움을 줄 것이다”는 응답이 67.6%를 기록했다. 이는 “동남아시아와의 경제협력이 우리 경제에 어느정도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긍정 응답 비율(78.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결과였다. 응답자들은 북방경제협력으로 경제구조 다변화, 민간교류 활성화, 경제 활력 회복 등의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고 답했다.


정부가 1990년대부터 계속 추진해온 북방경제협력정책의 성과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40.7%)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적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34.8%), ‘경제적 성과가 약간 있었다’(22.9%), ‘경제적 성과가 상당히 있었다’(1.6%) 등의 순으로 부정적 답변이 많았다. 정책이 실패한 원인은 ‘상호이해 부족과 인적·문화적 교류 미미’(44.6%), ‘체계적인 정책노력 미흡’(42.7%), ‘대상 국가가 우리 기업 진출에 부적절’(6.1%) 등의 답이 나왔다. 정부가 가장 중점을 둬야 할 북방경제협력 분야는 에너지(37.3%), 교통·물류(24.7%), 산업(14.9%), 농수산(5.3%) 등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북한 나진과 러시아 하산 간 철도와 나진항을 운송에 이용하려는 복합물류사업인 나진-하산 프로젝트의 재개에 대해서는 64.2%가 매우 또는 대체로 찬성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추진 중인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대해서는 경제에 도움될 것이라는 의견이 67.1%로 나타났다.

조사는 지난달 30일부터 1일 이틀간 만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