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첫 감사원장 후보자로 최재형(61·사진) 사법연수원장이 낙점됐다.
이로써 지난 1일부터 이어진 감사원 수장 공백 사태는 해결 국면을 맞았다. 그러나 이번 인사 과정에서도 새 정부의 고위공직자 인선난이 재부각돼 문제 해결을 위한 정치·사회적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7일 새 정부의 첫 감사원장 후보자에 최 원장을 지명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언론에 브리핑했다. 윤 수석은 최 후보자에 대해 “감사원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수호하면서 헌법상 부여된 회계감사와 직무감찰을 엄정히 수행해 감사 운영의 독립성·투명성·공정성을 강화하고 공공 부문 내의 불합리한 부분을 걷어내 깨끗하고 바른 공직사회와 신뢰받는 정부를 실현해나갈 적임자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 후보자는 1956년 경남 진해 출신으로 경기고,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다. 사법고시 23회를 통해 법조인으로 첫발을 내디뎠고 서울 및 대구고법 부장판사, 대전지법원장, 서울가정법원장 등을 지냈다. 최 후보자의 사회적 약자 배려 정신, 소수자 권익 보호 노력 등도 이번 인선 과정에서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최 후보는 두 딸을 낳은 후 두 아들을 입양해 네 자녀를 두고 있다. 자녀들과 함께 13개 구호단체에 4,000만여원을 기부하기도 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의 전언이다. 사법연수원생 시절 거동이 불편한 동료를 2년간 업고 출퇴근했던 일화도 법조계 안팎에서 유명하다.
최 후보자는 앞으로 청문회와 국회의 임명동의 표결을 거친 뒤 공식 임명될 예정이다. 임기는 4년이다.
이번 인선은 청와대가 고위공직자 인사에 대한 7대 기준을 적용한 첫 사례다. 그만큼 검증 과정이 까다로운 점도 있었지만 예비후보들이 손사래를 치며 고사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고 한다. 문제는 앞으로도 비슷한 사례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높아진 검증 잣대 앞에서 어지간한 경력의 인재들은 공개적으로 마녀사냥을 당할까 봐 모셔오려고 해도 고사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며 “이것이 고착화되면 앞으로 어느 정부가 들어와도 골치를 앓게 되는 만큼 좋은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