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년간 강남3구 주민 상속재산 10조원…서울의 43% 전국의 20%

/이미지 투데이/이미지 투데이


최근 5년간 되물림된 재산 51조여원 어치 중 절반이 서울시 주민 소유였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의원이 분석한 국세청의 납세지별 상속 현황 자료 결과에 따르면 2012∼2016년 전체 상속재산(51조4,159억 원) 중 서울 거주 상속인 재산은 23조1,692억 원(45.1%)로 집계됐다.


5년간 상속재산 중 절반 정도가 서울시 주민의 소유라는 셈이다.

2012∼2016년 지역·유형별 상속재산 현황 (단위 :억원)2012∼2016년 지역·유형별 상속재산 현황 (단위 :억원)


그렇다면 서울 내에서 어느 지역 주민의 상속 재산이 가장 많았을까.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주민의 상속재산이 10조 1,767억 원으로 서울 전체의 43%, 전국에서 약 2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강남구 4조6,623억 원, 서초구 3조3,985억 원, 송파구 2조1,159억 원 순이었다.

관련기사



서울 다음으로 상속재산이 많은 곳은 경기(13조1,708억 원)였고, 이어 부산(3조4,111억 원), 대구(2조1,593억 원)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종은 상속재산이 1,069억 원으로 가장 적었고 전남(3,461억 원), 제주(4,250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재산 유형별 비중을 보면 토지 상속이 37.0%로 가장 많았고 건물(27.1%), 금융자산(18.0%), 유가증권(12.2%) 등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 주민 상속재산은 토지(26.4%)보다 건물(34.4%) 비중이 더 컸다. 이 중 강남 3구 건물 상속재산은 3조5,884억 원으로 경기도 전체 건물 상속액(3조400억 원)보다도 훨씬 높았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