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JW중외제약, “다발성 골수종 신약, 임상1상에서 효과 나타나”

美혈액학회서 CWP291 병용 임상데이터 공개

“CWP291 병용 투여시 재발·불응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 63% 반응율 나타나”

JW중외제약(001060)은 자사가 다발성 골수종에 대한 혁신 신약으로 개발 중인 표적항암제 ‘CWP291’으로 기존 치료제에 반응이 없는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약물에 종양이 반응해 사라지는 관해율이 63%에 달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같은 임상시험 데이터는 지난 9일부터 4일간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제59차 미국혈액학회(ASH)에서 처음 공개됐다. 데이터는 JW중외제약이 2015년 10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임상 1a상(CWP291 단독 투여)과 1b상(다른 항암제와 병용 투여)의 중간 결과다.


CWP291은 암세포의 성장과 암 줄기세포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물질을 억제함으로써 암을 치료하는 표적항암제다. 회사 측에 따르면 CWP291의 단독 임상시험 결과 환자 약 45%는 질병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했으며, 다른 항암제와 병용 투여했을때는 환자의 약 63%(5명)에서 암 종양이 감소하는 효능을 확인했다. 또 골수 이식이 가능했던 1명의 임상환자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분화·증식한 골수종 세포가 34.6% 감소하는 반응이 나왔다.

관련기사



JW중외제약은 “기존 항암제의 단독·복합 화학요법이나 골수이식술 등을 받고도 치료에 실패한 환자들에게서 이 정도의 종양 감소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 깊다”며 “치료법이 없는 암 환자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 용량을 단계별로 늘려가며 유효성에 대한 추가적 데이터를 확보해 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다발성골수종은 림프종, 백혈병에 이어 발생률이 높은 3대 혈액암으로 다른 암과 달리 완치라는 개념이 없어 재발되는 경우가 많아 다양한 치료 옵션이 필요하다. 업계에 따르면 세계 다발성골수종 치료시장 규모는 2023년경 224억 달러(약 24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