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수원 청년들, 성공하려면 '노력·성실함'과 '재력·배경·인맥' 필요

수원시, 수원 청년 800명 대상으로 '수원 청년 생태계 조사'

수원 청년들은 우리 사회에서 성공하려면 ‘노력·성실함’뿐 아니라 재력·집안 배경·인맥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는 11일 수원에서 살고 있는 19~39세 청년 800명을 대상으로 한 ‘수원 청년 생태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청년들은 ‘우리 사회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조건’으로 ‘노력·성실성’(22%), ‘재력’(21.3%), ‘집안 배경’(19.3%) 등을 꼽았다. ‘인맥’(13.9%), ‘학벌·학력’(11.3%)이 뒤를 이었다.

또 미혼 청년(539명) 중 결혼할 생각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55.5%에 그쳤다. 17.3%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했고, ‘과거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없다(11.5%)’, ‘생각해 본 적 없다(11.1%)’, ‘과거에도 없었고 지금도 없다(4.6%)’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하지 않는 이유(2개 선택)는 ‘경제적 여유 부족’이 57.5%로 가장 많았고, ‘상대방에게 구속되기 싫어서’ 48.3%, ‘결혼생활로 인해 사회활동에 지장이 있을 것 같아서’ 35.6%, ‘기대치에 맞는 사람을 만나지 못할 것 같아서’가 28.7%였다.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공공기관’이 34.6%로 가장 많았으며, ‘대기업’(26.6%), ‘창업’(12.1%), ‘전문 중소기업’(10.5%), ‘외국계 기업’(8.0%), ‘일반 중소기업’(7.8%) 순으로 조사됐다. 선택 이유는 ‘고용이 안정적일 것 같아서’가 26.3%로 가장 많았고, ‘보수가 많을 것 같아서’ 22.2%, ‘복지혜택이 좋을 것 같아서’ 14.1%였다.


취업한 청년(449명)의 일자리 만족도는 3.3점(5점 만점)으로 보통 이상이었고, ‘업무 내용’(만족도 45.2%)·‘근로 시간’(42.8%)·‘근로 환경’(39.9%)·‘일의 자율성’(41.6%) 등은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지만 ‘임금과 수입’ 만족도는 25.4%로 낮은 편이었다. 취업자 중 34.5%는 이직 의향이 있었고, 이직을 생각한 이유로 63.9%가 ‘더 나은 보수·복지’를 꼽았다.

관련기사



‘청년실업의 근본 원인’은 ‘기업의 일자리 창출 부족’(39.3%)이라고 생각하는 청년이 가장 많았다. ‘청년들 개개인의 능력 부족·눈높이’(23.4%), ‘정부의 고용촉진 노력, 구인·구직 불일치 해소 노력 부족’(22.5%), ‘너무 많은 대학 졸업자’(14.9%)가 뒤를 이었다.

‘집 마련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10년 이후’라고 답한 청년(35.8%)이 가장 많았고, ‘5~10년’이 20.6%였다. ‘집을 마련할 수 없을 것 같다’가 17.6%였고, 18.1%는 집을 갖고 있었다.

또 부채가 있는 청년(194명)의 평균 부채는 6,301만원이었다. 33.5%가 ‘5,001만원 이상’이었고, ‘1만~1000만 원’ 25.8%, ‘1,001만~2000만 원’ 18%였다.

이밖에 흡연율은 20.8%,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13.4개비였다. 음주하는 청년은 80.9%였고, 음주 횟수는 ‘한 달에 한두 번’이 32.9%, ‘일주일에 한두 번’이 29.6%였다.

김현광 수원시 청년정책관은 “이번 청년 생태계 조사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수원형 청년 정책’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