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리빙랩 인프라 활성화”…부산 리빙랩 네트워크 출범

부산시와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그간 구축해온 리빙랩 인프라를 활성화하기 위해 나선다. 부산지역 리빙랩 인프라 구축 현황./사진제공=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부산시와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그간 구축해온 리빙랩 인프라를 활성화하기 위해 나선다. 부산지역 리빙랩 인프라 구축 현황./사진제공=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부산시와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그간 구축해온 리빙랩(Living Lab) 인프라를 활성화하기 위한 첫 행보에 나선다. 부산시와 부산혁신센터는 15일 오전 10시 ‘IoT(사물인터넷) 창업도시, 부산형 리빙랩 설명회’를 열고 부산 리빙랩 네트워크(BNoLL·Busan Network of Living Labs)를 출범한다고 12일 밝혔다.

부산 리빙랩 네트워크에는 부산시와 부산혁신센터를 주축으로 부산대 URP사업단과 사물인터넷연구센터, 경성대 스마트커뮤니티연구센터, 동명대 산학협력단, 동아대 URP사업단, 동의대 산학협력단이 참여한다. 부산 리빙랩 네트워크는 물류, 의료, 팩토리, 에너지, 도시재생, 교통 등 6대 분야별 리빙랩을 연결하는 플랫폼으로서 산·학·연 전문가들이 교류 협업하는 역할을 한다.


부산혁신센터는 시민사회, 민간기업, 전문가 등 다양한 주체가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고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함은 물론, 지역 우수 기업을 육성하고 펀딩 및 해외진출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혁신센터 관계자는 “부산 리빙랩 네트워크 출범이 부산 지역 IoT 창업 생태계 활성화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우수 아이디어 발굴부터 육성, 교류 지원, 펀딩, 해외 판로개척까지 연계해 부산 리빙랩 모델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리빙랩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 말했다.

관련기사



부산시와 부산혁신센터는 지난 2015년부터 롯데그룹과 함께 IoT 분야에 200억원을 투입해 부산 IoT 창업생태계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특히 ‘생활 속의 연구소’라고 불리는 리빙랩 모델을 도입해 6대 분야에 걸쳐 시민, 민간기업, 연구기관 등이 실증할 수 있는 공간을 구축하고, 지역 업체 발굴과 지원에 힘써왔다.

대표적으로 메디컬ICT융합센터에 의료 리빙랩을 구축해 부산지역 우수 기업 4개사를 선정하고 ‘보호자 없는 스마트 병실’ 모델 개발을 지원했다. 이밖에 물류, 도시재생 등 6대 분야의 7개 우수 기업을 선정해 시작품 실증을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역 유망 기업의 리빙랩 실증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