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오피스·상가·토지

건설사들 PFV서 빠져... '판교 알파돔' 속도낸다

이사회, 주주서 제외 결정

행정공제회·LH 중심 추진





판교 알파돔시티 조감도 /사진제공=미래에셋자산운용판교 알파돔시티 조감도 /사진제공=미래에셋자산운용


판교 알파돔시티 개발 프로젝트에서 건설사들이 빠진다. 알파돔시티 전체 10개 블록 중 개발 계획이 확정되지 않았던 6-1구역과 6-2구역을 행정공제회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공동 개발하기로 한 가운데 전체 지분의 약 30%를 차지하는 건설사들이 제외됨에 따라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알파돔시티 프로젝트 활성화 계획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애초 지난 2014년 말 완공을 목표로 추진됐던 알파돔시티 사업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출자자인 건설사, 재무적투자자, 전략적투자자 간의 이해관계가 맞지 않아 지연돼왔다.

1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지방행정공제회 등 알파돔시티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 주주들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전체 지분의 약 30%를 차지하는 건설사들과 주요 재무적투자자들을 주주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알파돔시티 PFV의 주주 구성은 LH(28.34%), 롯데건설·두산건설·GS건설 등 건설사 6곳(29.19%), 행정공제회(26.54%)·산업은행(4.25%)·KEB하나은행 등 재무적투자자 4곳(33.97%), 전략적투자자 2곳(4.25%), 기타 일반주주(4.25%)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날 이사회 결정을 통해 건설사 6곳, 산업은행과 하나은행 등 재무적투자자 등 의결권이 있는 주요 주주들은 전부 알파돔시티 사업에서 빠지게 된다. 주주 변경 후에는 LH가 28.34%, 행정공제회가 47%의 지분율을 가지게 되며 교보증권(18%)이 재무적투자자로 참여한다. 나머지 소수 지분은 의결권이 없는 주주다.


알파돔시티 PFV의 한 관계자는 “그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재무적투자자들과 이견이 있었던 건설사들이 주주에서 빠지게 됨에 따라 행정공제회와 LH를 중심으로 알파돔시티 개발 및 활성화 계획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행정공제회와 LH는 향후 여러 개의 상업·업무시설을 하나의 마을로 간주하고 전문기관이 종합적으로 운영·관리하는 타운매니지먼트 기법을 도입해 알파돔시티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날 이사회에서는 또 6-1구역과 6-2구역을 행정공제회와 미래에셋운용에 매각하는 안도 결정됐다. 행정공제회는 현재 매각이 진행되고 있는 6-3구역 매각대금을 투자해 6-1구역을 개발할 예정이며 미래에셋운용은 자체 자금과 투자자를 유치해 6-2구역을 개발할 방침이다.

한편 알파돔시티 사업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531번지 일원에 위치한 13만8,000㎡의 부지에 조성되는 복합개발 사업으로 2007년 12월 시작됐으며 총 사업비는 5조원 규모다. 공공기관인 LH가 민간사업자를 참여시켜 공동으로 개발하는 공모형 PF 사업이다. 대부분의 공모형 PF 사업들이 중간에 좌초됐지만 알파돔시티 사업은 판교 부동산시장이 살아나면서 10년 만에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