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개발 5G 핵심기술, TTA 표준으로 채택

5G기지국 중앙·분산 장치 연결하는 '프런트홀' 기술

SKT "중소기업·스타트업과 5G 생태계 활성화 나선다"

SK텔레콤 5G연구원들이 서울 명동의 건물 옥상에 설치된 5G 기지국에서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 5G연구원들이 서울 명동의 건물 옥상에 설치된 5G 기지국에서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은 자사가 개발한 5세대 이동통신(5G) 핵심 기술 ‘프런트홀’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으로 채택됐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술은 5G 기지국에 구축된 중앙 장치(CU)와 분산 장치(DU)를 연결하는 유선망이다.


SK텔레콤은 “5G는 LTE에 비해 촘촘하게 기지국을 구축해야 하고, 수용해야 할 데이터 용량도 커진다”며 “이 때문에 소비자들의 무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해 이를 중앙 장치로 전송하는 프런트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5G 프런트홀 규격은 개방성이 가장 큰 특징이다. LTE 프런트홀은 표준 규격이 정해지지 않아 대형 통신 장비 제조사에 따라 별도의 규격이 사용돼 왔기 때문에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은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반면 SK텔레콤의 개방형 5G 프런트홀 기술이 국내 표준으로 채택됨에 따라 중소 장비업체의 5G 생태계 참여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이번에 TTA의 표준으로 채택된 프런트홀 규격을 바탕으로 국내 중소 장비업체와 함께 장비 개발을 본격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데이터 전송 용량이 커지고 서비스 수가 급증하는 5G 시대에는 개방성에 기반한 프런트홀 규격이 필수적”이라며 “국내 중소기업·스타트업과 함께 5G 생태계를 활성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