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 FCC, ‘망 중립성’ 원칙 결국 폐기

“인터넷은 공공서비스 아닌 정보서비스…시장 원칙 따라야”

트래픽 우선부여, 특정 앱 차단 등 가능해 이통사 권한 강화

넷플릭스페이스북 등 데이터 다량 서비스업체 비용부담 직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14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제정된 망 중립성(Net Neutrality) 정책을 결국 폐기했다.

미 언론에 따르면 이날 표결에서 5명의 FCC 위원 가운데 공화당 추천 인사 3명이 찬성하면서 3대2로 폐기안이 통과됐다.


이로써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특정 웹 콘텐츠를 차단하거나 감속할 수 없도록 한 망 중립성 정책은 2015년 제정된 후 2년 만에 사라지게 됐다.

이날 표결에 부쳐진 망중립성 폐기안은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통신법상의 ‘타이틀 2’ 대신에 ‘타이틀 1’로 변경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는 인터넷 서비스를 ‘공공서비스’가 아닌 ‘정보서비스’로 변경해 시장의 원칙에 따라 작동되도록 함을 의미한다.

기존 망중립성 정책은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전기나 수도와 같은 공공서비스로 분류해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의 내용이나 양에 따라 데이터 속도 및 망 이용료를 차별하지 못하도록 했다.


하지만 정보서비스로 변경된 새 법안에서는 컴캐스트나 버라이즌과 같은 통신 사업자가 합법적으로 인터넷 트래픽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특정 앱이나 서비스를 차단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관련기사



망중립성 폐지로 인터넷 업계엔 지각변동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렇게 되면 이동통신 회사인 버라이즌 등이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 넷플릭스나 슬링 TV의 속도를 저하함으로써 버라이즌의 동영상 스트리밍 자회사인 파이오스 등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버라이즌, 컴캐스트 등 통신사업자들이 막강한 권한을 갖게 되는 셈이다. 반면 넷플릭스나 페이스북처럼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 사업자들은 비용 부담 등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제 통신사업자들은 미국인들의 온라인 경험을 재편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고 말했다.

FCC는 망중립성 폐기로 통신사들이 얻게 될 부가가치가 5G 등 차세대 통신 인프라 구축 투자로 연결되도록 한다는 것이 FCC의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콘텐츠 플랫폼을 자회사로 가진 통신사들이 일방적으로 유리한 사업 환경을 갖게 됐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실제 지난달 말 망중립성 정책 폐기 최종안이 나온 이후 구글, 페이스북, 넷플릭스 등 콘텐츠·플랫폼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미 전역에서 수 백 건의 반대 시위가 진행됐다. NYT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콘텐츠를 찾는데 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만들었고 스타트업들은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는데 더 큰 비용을 내도록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FCC 위원장을 지낸 줄리어스 제나초위스키는 “반(反) 차별과 투명성을 위한 망 중립성 원칙은 혁신과 투자의 생태계 조성에 기여해왔으며 다른 나라들의 부러움의 대상이었다”며 이번 조치가 혁신과 투자의 생태계를 파괴했다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