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뭘 선택해도 손해"…채권단 금호타이어 처리 속앓이

충당금 더 쌓아야 되고

신규 지원 리스크도 커

머리 맞대도 미봉책만

금호타이어 처리방안을 두고 우리은행 등 채권단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현재 제시된 선택지는 채권단 자율협약 유지 또는 법정관리의 일종인 ‘프리패키지드플랜(P플랜)’ 돌입뿐인데 어느 쪽이든 추가 손실이 불가피해서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독단적인 업무처리에 대한 나머지 채권단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이번주 우리·국민은행 등 9개 금융회사로 구성된 채권금융기관협의회를 열어 금호타이어 실사 결과 및 향후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채권단 내부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은의 일방통행식 구조조정 관행이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탓이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지난 9월 자율협약에 들어갈 때도 사전 논의를 하지 않고 ‘이틀간 말미를 줄 테니 자율협약을 내부 결의해오라는 식’이었다”며 “사전에 제대로 논의를 거치지 않으면 또다시 잡음이 불거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처리방식도 문제다. 만약 P플랜에 돌입하게 되면 채권단은 현재 ‘요주의’ 단계인 금호타이어 여신을 ‘회수 의문’ 단계까지 끌어내려 여신충당금을 더 쌓아야 한다. 이 경우 9개 채권단의 추가 충당금은 약 1조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올해 국내 은행들이 사상 최대 수준의 실적을 눈앞에 두고 있는 가운데 이 정도 충당금을 쌓으면 사실상 한 해 농사마저 망치게 된다는 게 채권단의 현실적인 부담이다.

관련기사



그렇다고 지금처럼 자율협약을 유지하기도 버겁다. 특히 금호타이어 중국 공장의 부실이 부담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금호타이어를 이대로 놓아두면 중국법인의 부실이 국내로 전이돼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 된다”며 “산은이 법정관리를 고민하는 것도 한국과 중국의 고리를 일단 끊어낸 뒤 회생방안을 찾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실적으로 최선의 대안은 제3자 매각이지만 마땅한 인수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만약 제3자 배정방식의 유상증자를 실시해 새 주인을 찾을 경우 기존 주식에 대한 감자와 출자전환 등이 필요한데 이는 채권단이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채권단의 또 다른 관계자는 “결국 자율협약을 유지하면서 신규 자금을 더 지원해주는 형태로 가닥을 잡을 가능성이 큰데 결국 미봉책이 될 수밖에 없어 답답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