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찬열 "韓기자 폭행 中보안업체, 공안 퇴직자들이 설립"

"경호 요원에 대한 지휘·통제는 공안과 연계된 경위센터가 총괄"

"코트라, 중국 업체가 부르는 대로 인건비 지급"

지난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 당시 중국 측 경호 관계자에게 폭행 당하는 한국 사진기자/연합뉴스지난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 당시 중국 측 경호 관계자에게 폭행 당하는 한국 사진기자/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 중 한국 사진기자들을 집단폭행한 중국 측 사설 보안업체는 중국 공안 퇴직자들이 세운 회사인 것으로 18일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찬열 국민의당 의원이 코트라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트라와 계약을 맺은 보안업체는 ‘북경은순보안복무유한공사’로 파악됐다. 이 의원의 자체 확인결과 이 업체는 중국 공안 퇴직자들이 세운 업체였다.


코트라는 행사장을 운영하는 중국 국영기업 ‘국가회의중심’이 지정해 준 이 업체와 계약을 했다. 보안·경호 요원에 대한 지휘·통제는 공안과 연계된 경위센터가 총괄하고 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관련기사



이 의원에 따르면 코트라가 당초 이 업체와 계약한 인원은 보안요원 50명과 안전검사 요원 30명 등 모두 80명이었다. 그러나 추가 계약으로 인해 전체 계약 인원은 총 190명으로 늘었고 코트라는 정확한 인건비 산출 정보를 제공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코트라는 업체가 부르는 대로 인건비를 지급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늘어난 인력으로 인해 지급할 최종 인건비 규모도 추산하지 못하고 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이 의원은 “중국 측이 특수 관계에 있는 공안 퇴직자들이 설립한 업체를 일방 지정해 계약하게 하고 인건비 산출근거도 제공하지 않았다”면서 “불미스러운 상황은 예견되어 있었던 것으로 잘못된 관행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허세민 인턴기자 semin@sedaily.com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