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거시건전성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STARS-Ⅰ)’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스트레스 테스트는 생산, 환율 등과 같은 거시경제변수의 급격한 변동을 가정해 금융시스템이 얼마나 안정적일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검사다.
이번 모형을 통해 스트레스 테스트는 금융투자·보험·저축은행·상호금융·여전사 등 전 금융권역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은행권을 중심으로 테스트가 진행됐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들은 타 금융사들로부터 대출을 빌린 다중채무자를 감안해 부도율을 상향 조정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스트레스 테스트는 범위를 확대해 금융권역 간 다중채무로 부도가 전이될 가능성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여러 금융 자회사를 보유한 금융그룹에 대한 통합적인 리스크를 평가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내년부터 도입되는 금융그룹 통합감독체계에 맞춰 계열사 간 자금 흐름에 위험 요인은 없는지 살필 수 있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최근 조직 개편을 통해 ‘금융그룹통합감독실’을 신설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전 금융권역을 대상으로 금리 인상이나 경기 침체 가능성을 가정해 스트레스 테스트를 시범 실시할 계획이다. 기존 모형의 상향식 테스트와 새로운 모형의 하향식 테스트 결과를 비교해 개선점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금융회사의 자본적정성과 유동성이 상호 작용하는 효과까지 반영하는 새로운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STARS-Ⅱ)도 개발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앞으로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보다 주기적으로 실시해 국내 금융권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계기를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은행들은 이미 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여신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고 있어 새로운 모형 도입으로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고금리 다중채무자들이 집중된 제2금융권은 테스트 결과를 고려해 보다 깐깐하게 대출을 내줘야 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