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美 "올해초 워너크라이 공격 배후는 북한" 공식화

보서트 보좌관 "北정권의 공격 막기 위해 최대한 압박할 것"

미국 정부가 ‘워너크라이’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공식 지목했다./서울경제DB미국 정부가 ‘워너크라이’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공식 지목했다./서울경제DB


미국 정부가 올해 초 전 세계 병원과 은행, 기업의 네트워크를 마비시킨 ‘워너크라이’(WannaCry)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공식 지목했다.

토머스 보서트 백악관 국토안보보좌관은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기고한 ‘워너크라이 배후가 북한이라는 점을 공식화한다’는 제목의 칼럼에서 “신중한 수사 후에 미국은 오늘 대규모 워너크라이 사이버공격을 북한 때문이라고 공식화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 배후로 북한이 여러 차례 지목된 적이 있지만, 미 정부가 이를 공식화한 것은 처음이다.

보서트 보좌관은 “널리 퍼져 수십억 달러의 비용을 초래한 이 공격에 북한은 직접적인 책임이 있다”며 “우리는 이런 혐의를 가볍게 제기하는 것이 아니며 증거에 기반했다. 또한 우리만 이런 발견을 한 것도 아니다. 다른 정부와 민간 기업도 동의하는 바”라고 강조했다. 그는 “세계가 점점 더 새로운 기술, 장비,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상호 연결되며 엄청난 편의성을 누리게 됐지만, 불행히도 나쁜 주체는 익명성에 희망을 품은 채 혼란을 야기할 기회를 엿보고 있다”며 “이들은 지적 재산권을 훔치고 모든 영역에 심각한 해를 가했다. 워너크라이로 인한 결과는 경제적인 것을 넘어섰다”고 비난했다.


그는 또 “피해자들에게 몸값을 요구했지만 이를 지급한다고 컴퓨터가 (감염에서) 풀리지도 않는다. 이는 많은 돈이 들게 하면서도 비겁하고, 경솔한 행동이다”라며 영국의 경우 의료체계가 마비돼 “사람들의 목숨이 위험에 빠졌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동맹 및 기술분야 기업들과 연대해 인터넷 세상의 보안과 회복력 강화를 위해 앞장서겠다”면서 “우리가 발명한 인터넷 보안에서도 미국이 리더라는 사실을 다시금 보여주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보서트 보좌관은 “미국과 유럽, 나머지 국가들을 지속적으로 위협하는 북한의 경우 사이버 공격을 활용해 무모한 행동을 하고 세계에 혼란을 주는 데 필요한 자금을 조달한다”며 “북한의 용인할 수 없는 핵·미사일 개발을 압박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여러 수단을 동원했으며 우리는 사이버든 다른 무엇이든 간에 북한 정권의 커지는 공격 능력을 막기 위해 최대의 압박 전략을 구사하겠다”고 강조했다.

미 정부는 19일 성명을 내고 워너크라이 사이버 공격에 대한 조사결과를 다시 한 번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허세민 인턴기자 semin@sedaily.com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