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석균 석방" 민노총 당사 점거에 민주당 "어찌하오리까" 곤혹

"등 돌릴라" vs "끌려다녀야 하나" 의견 분분

근로시간 단축법 협상도 여전히 '난항'

민주당 지도부는 20일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노동계와의 갈등 상황에 대해 대책을 논의했다./서울경제DB민주당 지도부는 20일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노동계와의 갈등 상황에 대해 대책을 논의했다./서울경제DB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20일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노동계와의 갈등 상황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근로시간 단축 법안 등에 대한 노동계의 거센 반발에 직면한 데다 양대 노총의 한 축인 민주노총이 한상균 위원장의 석방 등을 요구하며 여의도 당사를 점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당내에서는 전통적인 지지기반인 노동계가 ‘등 돌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그렇다고 일방적 주장에 끌려다닐 수만은 없지 않느냐’는 고민이 공존하는 모습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노총의 당사점거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전날 이춘석 사무총장이 당사 당 대표실에서 농성 중인 이영주 민주노총 사무총장을 만나 퇴거를 요청했지만, 설득에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공개회의 참석자 다수는 “우리가 야당이든 여당이든 민주 세력으로서 그들을 내쫓을 수는 없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을 냈고, 추미애 대표 또한 “일단 상황을 더 지켜보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계와 당 사이의 ‘균열’은 앞서 노동시간 단축법과 연계된 휴일근무수당 할증률 협상 과정에서 뚜렷하게 드러났다. 민주당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협상 과정에서 재계의 요청을 수용해 휴일·연장근로에 중복할증을 적용하지 않는 여야 합의안을 마련하면서 노동계의 거센 반발을 샀다.

관련기사



현재 민주당은 중복할증 적용을 일정 기간 유예하는 우원식 원내대표의 ‘중재안’을 놓고 이해당사자들을 설득하고 있지만, 원내 관계자들은 이 역시 녹록지 않다고 말한다. 이런 상황에서 민주노총의 당사점거와 한상균 위원장 석방 요구까지 겹치면서 더욱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했다.

환노위 소속의 한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권을 잡은 민주당이 재계를 위한 노력을 쏟기보다, 사회적 약자와 노동자들을 위한 합의안을 만드는 데 힘을 다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을 원내 지도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반면 다른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노총에 쓴소리를 할 때는 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타협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노동계도 이해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