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日기업, 中서 '판다본드' 발행...양국 관계개선 신호탄?

中·日, 발행인가 정보 교환

미쓰비시도쿄UFJ 등 신청

일본 은행이 중국에서 위안화 표시 채권인 ‘판다본드’를 발행한다. 일본과 중국 금융가에서는 양국 관계의 본격적인 개선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과 중국 재정성은 22일 판다본드 발행 인가를 위한 정보를 교환하고 발행허가 조치를 시작한다. 정보교환 방안에는 양국 정부 사이에 회계감사법인의 감독이나 검사에 관한 내용도 포함된다. 일본 기업이 중국 현지법인을 통해 위안화 표시 채권을 발행한 적은 있지만 일본에 본사를 둔 기업이 판다본드를 발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미 일본 3대 은행인 미쓰비시도쿄UFJ은행과 미즈호은행이 판다본드 발행을 위해 중국 당국에 허가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은행은 중국의 허가가 나오면 곧바로 채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이어 일본 기업들도 채권 발행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판다본드 발행을 위한 양국 회계감사 정보교환 조치가 시작되면 그만큼 중국 당국의 규제가 줄어들 가능성이 커 판다본드 발행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금융가에서는 일본 기업에 대한 판다본드 발행 허가 조치가 양국 모두에 ‘윈윈’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일본 기업은 현지에서 위안화로 자금을 조달해 환율 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 조달금리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위안화 국제화를 원하고 있는 중국은 일본 금융기관의 판다본드 발행으로 위안화 글로벌화에 한층 속도를 낼 수 있다. 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과 대형 감세로 중국 내 해외자금 유출 우려가 높아지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책의 역할도 할 것으로 관측된다. 신문은 “판다본드 발행을 계기로 양국이 위안화와 관련한 협력을 시작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내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상호 방문 등이 거론되고 있는 만큼 금융 분야의 양국 협력이 속도를 낼 수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일본과 중국 정부는 지난 2011년 12월 위안화에 관한 포괄적 협력에 합의했지만 이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토 분쟁이 터지면서 양국 관계 악화로 관련 후속 조치가 끊겼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10월 중국 당대회 이후 시 주석의 집권 2기가 시작되면서 중일관계가 개선 신호를 보이고 있는 만큼 판다본드 이외에도 위안화를 둘러싼 양국 협력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판다본드는 2005년 발행이 인정돼 같은 해 10월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제금융공사(IFC)가 발행한 것이 처음이다. 당초에는 ADB 등 국제금융기관들만 발행할 수 있었지만 2014년에는 일반 기업으로 확대됐고 2015년에는 외국 정부도 발행할 수 있게 됐다. 독일 자동차 회사 다임러크라이슬러도 발행한 바 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