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임금안 부족" 현대차 노조 잠정합의안 부결…이르면 1월말 교섭 재개

찬성률 48.23% 머물러

지난해 보다 적은 임금 인상폭이 발목

임단협 결국 해 넘겨

이르면 내년 1월말 교섭 재개할듯

지난 6월 민주노총 총파업 결의대회에 참가한 현대차 노조 관계자들이 서울 종로 일대 거리를 행진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노조 홈페이지지난 6월 민주노총 총파업 결의대회에 참가한 현대차 노조 관계자들이 서울 종로 일대 거리를 행진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노조 홈페이지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임금 인상폭이 지난해 보다 적다며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 합의안을 부결 시켰다. 이에 따라 노사 협상이 사상 최초로 해를 넘기게 됐다. 노사 협의는 이르면 1월 말 재개될 전망이다.

현대차(005380) 노조는 23일 전체 조합원 5만89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단협 잠정합의안 찬반 투표를 진행했고 투표자 4만5,008명(투표율 88.44%) 중 2만2,611명(50.24%)이 반대표를 던져 최종 부결됐다. 찬성표는 2만1,707명(48.23%)에 머물렀다. 잠정합의안이 부결되면서 임단협 연내 타결은 물 건너갔다. 노조는 “파업임금 손실과 지부 정기대의원회의를 마치면 내년 1월 말이나 2월 초 교섭을 재개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번 부결의 결정적 이유는 돈이었다. 예년보다 낮은 임금 인상 폭과 적은 성과금이 쟁점이었다. 노사는 앞서 이달 19일 울산공장에서 열린 39차 교섭에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임금은 5만8,000원 인상, 성과금과 격려금 300% 및 280만원 지급, 중소기업 제품 구입 시 20만 포인트 지원 등이 주요 내용이다. 지난해 임금 7만2,000원 인상, 성과급 및 격려금 350% + 330만원, 전통시장 상품권 50만원, 주식 10주 지급 등에 합의한 것에 비하면 적은 수준이다. 노조는 “사측이 작년 타결안의 20% 이상 삭감을 고수했지만 정정당당히 조합원의 자존심을 지켰다”고 밝혔지만 조합원들의 마음을 얻지는 못했다.

관련기사



특히 올해 임단협에서 노사는 사내 하도급 근로자 3,500명을 2021년까지 단계적으로 정규직화, 2,055명의 비정규직 촉탁직 공정을 2018년 70%, 2019년 50%까지 1,000여 공장에서 정규직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또 신임금체계 논의를 폐지하기로 한 바 있다. 이밖에 사회공헌협의체도 만들어 3년간 30억원의 사회공헌 특별기금을 적립하기로 했다. 하지만 결국 임금성 조건을 이유로 합의안을 부결시키면서 사회적 명분 보다는 돈을 중시하는 귀족 노조라는 오명을 듣게 됐다.

노조는 올 임단협 과정에서 모두 19차례의 파업을 진행했고 이에 따라 6만2,600여대(1조3,100여억원)의 생산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26일 교섭팀 회의를 열어 앞으로의 일정을 논의할 예정이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