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AI,드론 등 13개 혁신성장동력 선정...2015년까지 일자리 55만개 만든다

정부 5년간 8조원 투자

자율주행차·드론 등 13개 혁신성장동력으로 키운다

국가과학기술심의회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 확정


자율주행차처럼 조기 상용화가 가능한 분야는 금융지원과 인프라 조성 등 투자 확대가 이뤄지고 혁신 신약과 인공지능(AI)과 같이 원천기술 확보가 시급한 분야는 혁신적 연구를 위한 연구환경 개선이 우선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10개 부처는 지난 22일 제13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성장동력특별위원회를 열어 총 13개 혁신성장동력을 선정하고 조기 상용화와 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하는 내용의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혁신성장동력은 관계부처 및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뭘키울까’ 태스크포스(TF)가 총 열 차례에 걸친 회의를 통해 선정했다. 지능화인프라·스마트이동체·융합서비스·산업기반 등 4개 분야에 걸쳐 자율주행차·빅데이터·맞춤형헬스케어·스마트시티·가상증강현실·신재생에너지·지능형로봇·드론(무인기)·차세대통신·첨단소재·지능형반도체·혁신신약·AI 등 총 13개다.


혁신성장동력은 분야별 특성과 산업화 시기 등을 고려해 조기 상용화와 원천기술 확보 분야로 나눠 지원된다. 조기 상용화 분야는 최종 결과가 제품·서비스로 나타나고 5년 내 상용화가 가능한 분야이며 원천기술 확보 분야는 최종 결과가 핵심 기술로 나타나는 분야다.

관련기사



8개 조기 상용화 분야는 규제개선·실증 등을 통해 민간 참여 및 투자 확대를 유도한다. 자율주행차·빅데이터·맞춤형헬스케어는 신산업·신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규제개선과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금융지원, 인프라 조성을 추진한다. 스마티시티·가상증강현실·신재생에너지는 산학연 공동의 대형 실증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지능형로봇·드론(무인기)은 국가·공공기관의 구매·활용을 통해 초기 적용실적(track-record) 확보를 지원하기로 했다.

5개 원천기술 확보 분야는 상용화·원천연구를 중점 지원한다. 차세대통신·첨단소재·지능형반도체는 산업 분야 적용을 위한 융합 제품·서비스 개발과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혁신 신약과 AI는 지속적인 원천연구를 지원하고 혁신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환경 개선을 추진한다.

정부는 내년에 이들 13개 혁신성장동력 분야에 총 1조5,600억원을 지원하는 등 오는 2022년까지 총 7조9,600억원의 정부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2025년 5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어낸다는 계획이다. 또 4차 산업혁명 등 환경변화를 고려해 범부처적으로 육성이 필요한 혁신성장동력 후보 과제를 정기적으로 발굴해 추가하기로 했다. 현재 후보 과제로는 스마트공장·스마트농업·자율운항선박·블록체인이 발굴됐다.

임대식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들이 자금을 쌓아두지 않고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 창출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확실한 유인책이 필요하다”면서 “혁신성장동력이 혁신성장을 견인하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부처 간 협업과 민관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성행경기자 saint@sedaily.com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