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하룻밤에 13만~16만원" 바가지 깬 평창 숙박시설

지역 숙박업주 '방값 정상화' 나서

최근 형성된 요금보다 50% 저렴

“평창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에 동참하기 위해 2인 기준 1박에 13만~16만원을 받겠습니다.”

평창올림픽 개최 지역의 숙박업주들이 숙박요금 정상화를 위해 손을 모았다. 대한숙박업 평창군지부와 평창군 펜션·민박협회는 26일 강원 평창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견에는 평창 지역 숙박업소 대표 16명이 모였다. 이들은 “경기장까지 거리와 객실 규모 등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1박 13만~16만원은 최근 형성됐던 요금인 30만~35만원보다 50% 이상, 성수기 요금보다 10% 이상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평창올림픽 개최 지역의 일부 숙박업소들은 1박에 50만~60만원의 가격을 불러 ‘바가지요금’ 논란을 일으켰다. 이날 모인 업주들은 “올림픽 손님맞이 예약과 준비로 한창 바빠야 할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숙박업소의 바가지 상혼과 단체가 아니면 예약을 거부한 사례로 인해 전체 숙박업소 가격이 높은 것처럼 여론이 형성됐다”며 “이로 인해 양심적인 대다수 업소들이 피해를 보며 올림픽 특수는커녕 오히려 공실 사태를 걱정하고 있다. 또 숙박요금이 올림픽 흥행의 장애로 취급되고 지역·국가 이미지를 훼손한다는 보도에 마음이 아프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모든 숙박업소와 펜션업소가 고가 숙박요금을 받고 개별 단기손님의 예약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업소 대부분은 성수기 이하 요금으로 영업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에 따르면 일부 언론은 165~198㎡(약 50~60평) 규모인 큰 객실의 요금이 2인 기준 요금인 것으로 잘못 보도해 그동안 관광객을 맞으려 도배 등 시설과 서비스 개선에 나섰던 업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관련기사



현재 호텔·콘도·모텔 등 평창 지역 숙박업소들의 평균 예약률은 36% 수준이며 농어촌 민박업소 예약률은 20%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단체는 “환경시설 개선과 서비스 향상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했고 저렴한 가격에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 싸고 깨끗하고 편안한 잠자리가 있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현재 행정안전부는 강릉·평창·정선 등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바가지요금과 개별숙박 예약 거부 등을 집중 단속하고 있다. 강원도와 올림픽조직위원회는 올림픽통합콜센터(국번 없이 1330)를 통해 숙박 예약과 바가지요금 신고를 함께 받고 있다.

양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