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국산 호위함 '충남함' 32년 임무 마치고 예비역으로 전역

초계함 여수함·진해함도 전역…참수리 고속정 3척은 퇴역

충남함충남함




여수함여수함



국산 1세대 전투함들이 속속 현역에서 물러나고 있다. 전투함의 세대 교체는 오는 2020년대 중반까지 이어져 울산급 호위함과 포항급 초계함이 신형 호위함 등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진해함진해함


해군은 27일 진해 군항 서해대에서 1,500t급 호위함 충남함과 1,000t급 초계함 여수함과 진해함 등 함정 6척의 전역·퇴역식을 가졌다. 충남함과 초계함 여수함, 진해함 등 3척은 예비역으로 바뀌어 해군 제8전투훈련단의 예비역 훈련함으로 쓰이고 130t급 고속정 3척은 퇴역한다.

충남함, 여수함, 진해함은 우리 해군의 국산 전투함 시대를 연 주역들이다. 국산 호위함은 1981년 1번함인 울산함을 시작으로 9척이 건조됐고, 초계함은 1983년 동해함을 시작으로 28척이 건조됐다. 충남함은 울산급 호위함 3번함이고 여수함과 진해함은 각각 포항급 초계함 8번함, 9번함이다.

충남함을 포함한 국산 호위함은 1998년 해군이 3,200t급 구축함 광개토대왕함을 도입하기 전까지 우리 해군의 주력 전투함이었다. 1985년 7월 1일 취역한 충남함은 전장 102m, 전폭 12m에 76mm 함포 2문, 30mm 함포 4문, 대함유도탄 하푼, 단거리 대공미사일 미스트랄, 대잠어뢰, 폭뢰, 자동사격통제장치, 음탐기 등을 탑재했다.


대함·대공·대잠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충남함은 1991년 우리 해군 최초로 수에즈 운하를 통과했고, 이듬해에는 해군 최초의 세계 일주를 하는 등 대양을 누볐다. 전비태세 최우수함, 최우수 포술함 등 화려한 수상 경력이 있고 해군 함정의 기준을 의미하는 ‘벤치마크 십’(Benchmark ship) 칭호를 받기도 했다.

관련기사



충남함은 이날 전역식에서 32년 동안 마스트에 단 취역기를 내리게 됐다. 취역기는 삼각뿔 모양의 깃발로, 해군에 인도된 함정이 취역할 때 게양해 전역할 때까지 내리지 않는다.

여수함과 진해함은 각각 1986년, 1988년 취역했다. 전장 88m, 전폭 10m에 76mm와 30mm 함포, 미스트랄, 경어뢰, 폭뢰 등을 탑재한 이들 함정은 고속정과 함께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진해함의 경우 우리 해군 함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북한 함정과 싸운 1999년 제1연평해전과 2002년 제2연평해전에도 참전했다.

이번에 퇴역하는 고속정은 참수리 293, 296, 297호정으로, 도서 전진기지 등 최일선에 배치돼 영해 수호 임무를 수행했다.

이성환 해군 3함대사령관(소장) 주관으로 열리는 이들 함정의 전역·퇴역식에는 충남함 초대 함장을 지낸 윤광웅 전 국방부 장관, 14대 함장 정호섭 전 해군참모총장, 여수함 5대 함장 최윤희 전 합참의장도 참석할 예정이다.

윤광웅 전 장관은 “우리와 함께했던 이 함정들은 영원히 역사 속에 남게 되지만, 언젠가 다시 다른 모습으로 우리 곁에 다가오기를 기원한다”며 “그동안 위풍당당한 모습으로 거친 파도를 가르며 주어진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충남함, 여수함, 진해함, 고속정들에 큰 박수를 보낸다”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