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천 화재 '백드래프트' 논란 증폭…"2층 사우나 연기로 꽉 차"

깨진 유리창을 둘러보고 있는 소방합동조사단의 모습 /연합뉴스깨진 유리창을 둘러보고 있는 소방합동조사단의 모습 /연합뉴스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당시 백 드래프트를 우려해 사우나 유리창을 깨지 않았다는 소방당국의 설명을 두고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당시 2층 여성 사우나에서 숨진 채 발견된 20명은 불길에 의해서가 아니라 연기에 질식사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정황과 함께 물증이 나와서다. 26일 화재 현장을 둘러본 소방합동조사단의 한 관계자는 “2층 여자 사우나의 목욕용 의자가 심하게 그을려 처음엔 몰랐을 정도”라며 “이는 연기가 그만큼 꽉 찼었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2층 사우나 안에 있던 플라스틱 물바가지도 온전한 상태로 발견됐다.



소방서 측에서 우려한 백드래프트는 화재가 발생한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기 위해 문을 열 거나 창문을 부수게 되면 산소가 갑자기 공급돼 마치 폭발하듯이 불길이 갑자기 크게 번지는 현상이다. 화재 당일 소방관들은 백 드래프트 현상이 우려돼 현장에 도착한 지 40분이 지나서야 2층 유리창을 깼다. 이로써 소방당국이 2층 사우나 통유리를 서둘러 깨고 구조에 나섰더라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유가족의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유족들은 지난 22일 시신이 안치된 병원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에게도 이런 원망과 질책을 쏟아냈었다.


한 유족은 “여자들이 모여있던 2층 사우나 통유리만 먼저 깨줬으면 거의 다 살았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소방당국은 백드래프트 발생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만약 백드래프트 발생 가능성이 없었더라도 불길이 천장쪽으로 치솟는 굴뚝 현상이 발생해 급격한 연소 확대 위험성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