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과 양육 병행 힘들어"…5년 미만 신혼부부 36% '자녀 없다'

맞벌이·고소득…자녀 안 낳아

아기를 낳지 않는 신혼부부의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아기를 낳지 않는 신혼부부의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


일과 출산·양육을 병행하기 어려운 현실 때문에 아기를 낳지 않는 신혼부부의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6년 기준 신혼부부통계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5년 이내에 혼인 신고한 초혼 신혼부부 115만1,000쌍 가운데 36.3%가 자녀를 낳지 않았다.

관련기사



경제활동 형태로 분석하면 맞벌이 부부 중 자녀가 없는 이들의 비율은 42.2%로 외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율(30.9%)보다 11.3% 포인트 높았다. 평균 출생아 수 또한 맞벌이 부부가 0.71명으로 외벌이 부부(0.88명)보다 적었다.

소득이 높은 초혼 신혼부부의 무자녀 비율도 상승했다. 부부 소득 구간별 무자녀 비율은 1,000만원 미만은 30.2%, 1,000만∼3,000만원 미만 32.8%, 3,000만∼5,000만원 미만 33.5%, 5,000만∼7,000만원 미만 38.8%, 7,000만∼1억원 미만 43.2%, 1억원 이상 44.5%로 집계됐다. 2015년 기준 조사결과와 비교해보면 무자녀 비율은 1,000만원 미만 구간에서는 0.7% 포인트 낮아졌으나 나머지 구간에서는 0.4∼1.3% 포인트 높아졌다. 통계청은 맞벌이 부부나 소득이 많은 부부의 무자녀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과 관련해 “고용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관리직이나 고임금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기회비용이 크기 때문에 출산에 소극적인 것 같다”고 풀이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