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전기요금 인상 압박 커지는데...'신재생 확대' 8차 전력계획 확정

신규원전 6기 건설 백지화

신재생 관제시스템은 반영



전기요금 인상 압박이 커질 것이라는 숱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원전과 석탄을 줄이는 대신 신재생에너지를 크게 늘리는 내용을 골자로 한 8차 전력수급계획을 확정했다.

신규 원전 6기는 백지화되고 월성 1호기는 전력 공급에서 제외한다. 줄어드는 전력공급은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20%까지 늘려 보충하겠다는 복안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2031년까지의 전력 수급 전망과 전력설비 계획이 담긴 8차 수급기본계획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지난 1년간 70여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초안이 만들어지고 국회 및 공청회를 거쳐 전력정책 심의회 심의를 통해 이날 확정 공고한 ‘8차 전력수급계획’은 환경성과 안정성을 대폭 보강해 수립한 것이 특징이다.

설비는 원전·석탄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가고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친환경에너지를 대폭 확대한다. 원전 신규 6기 건설을 백지화하고 노후 10기에 대해서는 수명 연장을 중단하며 월성 1호기의 공급 제외 등을 반영했다. 또 노후석탄발전소 10기를 2022년까지 폐지하고 당진에코파워 등 석탄 6기는 LNG로 연료를 전환하기로 했다.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풍력을 중심으로 47.2GW 규모의 신규 설비를 확충해 2030년 58.5GW까지 확대에 나선다.

국회 보고와 공청회 등을 거쳐 지적된 사안들도 반영됐다.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40㎿ 초과 프로젝트 리스트와 연도별 투자계획, 용량·발전량 등 발전원별 믹스, 기관별 계획 등을 수급계획에 추가했고 2018년부터 재생에너지를 실시간 감시, 예측하는 ‘종합 관제시스템’을 시범 운영해 간헐성 문제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