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위안부 합의수정'에 날새우는 日]아베 '평창 불참' 무게...주한 日대사 소환설도

강경화(왼쪽) 외교부 장관이 지난 19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도쿄=AP연합뉴스강경화(왼쪽) 외교부 장관이 지난 19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도쿄=AP연합뉴스




한국 정부가 2년 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수정할 조짐을 보이자 일본 정부에서 고강도 대응책이 거론되기 시작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내년 2월 평창에서 열리는 동계올림픽 참석을 보류하는 방향으로 조정에 돌입했으며 일각에서는 주한 일본대사를 일시 귀국시키는 방안도 부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2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전날 총리 관저에서 아키바 다케오 외무심의관, 가나스기 겐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을 불러 대응책을 협의했다. 일본 정부는 이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한일 정부 간 위안부 합의에 대해 입장문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재협상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아베 총리는 재협상 문제를 평창 올림픽 참석과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날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평창올림픽 기간) 아베 총리의 방한은 어려워졌다. 이러한 시기에 방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평창올림픽 개최 시기가 통상국회(정기국회)에서의 2018년도 예산안 심의와 겹치고 주요국 정상이 참석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관련기사



앞서 강경화 외교장관은 지난 19일 아베 총리를 예방해 평창올림픽 참석을 바란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뜻을 전달했지만 아베 총리의 확답을 받지 못했다.

일본 정부가 8개월 만에 또다시 주한 일본대사를 복귀시킬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본 정부는 올해 초 부산의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 때 나가미네 야스마사 대사를 불러들인 뒤 85일 만인 4월4일 귀임시켰다. 재팬타임스는 “정부가 대응책의 일환으로 나가미네 대사를 일시 귀국시키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