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새 집행부 들어선 민노총 기득권부터 버려라

민주노총 차기 위원장에 철도노조 위원장 출신의 김명환 후보가 당선됐다. 김 당선자는 “조합원들의 지지는 촛불혁명에 이은 노동혁명과 사회 대개혁을 주도하고 완성하라는 간절한 염원”이라며 새로운 민주노총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또 노사정위원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와 당당하게 교섭하고 반노동·반개혁에 맞서 투쟁하겠다고 선언했다.


민주노총은 이번에 새 집행부를 꾸리는 데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다. 조합원들의 참여가 저조해 투표기간이 연장되고 재투표가 이뤄지는 등 혼선을 빚었다. 결선투표마저 최종 투표율이 41% 수준으로 절반에도 이르지 못했다. 그만큼 집행부의 정책 노선에 대한 현장 조합원들의 불신과 무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는 방증이다. 새 집행부는 이런 조합원의 정서를 고려해 과거와 절연하고 진정 근로자를 위한 조직이라는 본연의 모습을 되찾아야 한다. 무리한 정치투쟁을 일삼기보다 우리 사회의 건전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그가 ‘대화와 타협’을 내세우고 새로운 방식의 사회적 대화 참여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일단 주목할 만하다. 다만 김 당선자는 기존의 노사정위원회를 거부하고 대통령이 참여하는 ‘신 8자 회의’를 주장하고 있다. 한국노총과 달리 노사정위원회를 아예 배제하고 대통령과 직거래하겠다는 것이니 사회적 대타협을 위한 대화의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민주노총은 말로는 전체 근로자를 대변한다면서 대기업 정규직 중심의 정치운동에 파묻혀 비정규직과 청년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별사면에 한상균 전 위원장이 빠졌다며 ‘눈치 보기’라고 비난하는 것이나 여당 당사를 점거해 촛불 계산서를 들이미는 행태도 국민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민주노총도 아집과 독선에서 벗어나 과감히 기득권을 내려놓고 사회적 약자를 위해 양보하는 성숙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대기업 임금 상승을 최소화하면서 중소기업과 비정규직에 혜택을 돌리고 생산성 향상에 매진하는 일본 노동단체의 모습을 보고 배워야 한다. 그래야만 양극화와 비정규직 문제가 해결되고 더 이상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말도 나오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