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충남 지역 야생조류 분변에서…AI 바이러스 추가 검출

농식품부 "철새도래지 출입통제·소독조치 등 방역강화 조치 이행 당부"

경기도와 충남도 지역에서 채취된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추가로 검출됐다./연합뉴스경기도와 충남도 지역에서 채취된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추가로 검출됐다./연합뉴스


경기도와 충남도 지역에서 채취된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추가로 검출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 22일 경기 안성 청미천, 23일 충남 천안 곡교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고병원성 H5N6형 AI로 확진했다고 31일 전했다. 안성과 천안 지역에서는 이미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바 있다.


농식품부는 지난 28일 해당 지역에서 H5형 항원이 나온 직후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설정하고 21일 동안 가금류에 대한 이동통제와 소독, 예찰 등 차단방역 조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앞서 23, 25일 각각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풍서천·곡교천 관내 모든 가금농가에 대해서도 긴급 예찰 및 정밀검사를 실시했다. 농식품부는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AI가 추가로 검출된 만큼 관할 지자체와 가금농가의 철새 등을 통한 유입을 막기 위해 철새도래지 출입통제 및 소독조치 등과 더불어 농장에 대한 방역강화 조치를 이행하라고 당부했다.

지난달 19일 전북 고창 육용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AI 첫 확진 판정이 나온 이후 31일 현재까지 고병원성 AI 발생 농장 수는 총 8호다. 발생 지역은 전북 고창·정읍, 전남 영암(4건)·고흥·나주 등 2개 시·도, 5개 시·군이다.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사례는 이날 확진된 사례까지 포함해 전남 순천, 제주 제주시(2건), 경기 용인·안성, 충남 천안(3건) 등 총 8건이다. 살처분 마릿수는 24농가 57만9,000마리로 늘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