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통합동력 얻은 安 "좌고우면 않고 전진"

국민의당 통합투표 '찬성' 75%

의원 설득작업·여론전 강화해

평창올림픽 개막전 통합 마무리

반대파 "투표율 23%...원천무효"

全大무산 별러 내홍 더 커질듯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31일 오전 국회에서 압도적 찬성으로 나온 바른정당과의 통합 추진 관련 전 당원 투표 결과에 대해 “좌고우면하지 않고 통합의 길로 전진하겠다”며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연합뉴스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31일 오전 국회에서 압도적 찬성으로 나온 바른정당과의 통합 추진 관련 전 당원 투표 결과에 대해 “좌고우면하지 않고 통합의 길로 전진하겠다”며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연합뉴스




국민의당 통합 반대파 의원 및 당원들이 31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안철수 대표의 퇴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국민의당 통합 반대파 의원 및 당원들이 31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안철수 대표의 퇴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중심으로 한 ‘통합파’가 31일 당원표심 대결에서 약 75%에 달하는 압승을 거뒀다. 이로써 중도개혁(국민의당)과 중도보수(바른정당) 간 화학결합 작업에는 한층 추진력이 붙게 됐으나 여전히 통합 반대파의 저항이 거세 험로가 예상된다.


국민의당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바른정당과의 통합 추진 및 안 대표에 대한 재신임 여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74.6%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반대는 25.4%였다. 이번 전 당원 투표는 지난 27~30일 진행됐고 전체 선거인 26만437명 가운데 23%인 5만9,911명이 참여했다. 국민의당은 이날 투표결과에 따라 중도통합 추진을 공식 선언했다.

안 대표는 이날 투표 결과 발표 직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원 여러분이 압도적 지지를 보내주셨다. 좌고우면하지 않고 통합의 길로 전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역과 이념, 정파를 넘어 합리적 진보를 추구하는 개혁세력과 새로워지려는 보수세력이 노력하는 범개혁정당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산을 만나면 길을 내고 물을 만나면 다리를 놓는다는 의미의 ‘봉산개도 우수가교’를 새해 사자성어로 택했을 만큼 개혁 위에 당을 키우고 전진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안 대표는 압도적 다수가 통합에 찬성한 만큼 새해부터 바른정당과의 통합 절차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친안계 의원 2명을 통합교섭창구로 지정해 통합에 필요한 실무 작업 논의에 착수할 계획이다. 안 대표는 또 다음 주부터 전 당원 투표 결과와 통합 관련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여론전도 강화할 방침이다. 의원 및 당협 위원장들과 수시로 만나 통합 설득 작업도 이어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친안계는 전대 준비 및 통합 실무 작업에 한 달 정도 걸린다고 보고 있다. 오는 2월 초 평창동계올림픽 개막 전에는 통합을 마무리할 생각이다. 일각에서는 통합 동력을 충분히 얻었다고 판단, 일정을 더욱 앞당겨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당대당 통합을 위해서는 별도의 전대를 열어야 하지만 반대파의 반발을 우려해 전자투표로 진행하는 방안도 고심 중이다.

친안계의 계획대로 통합 절차가 마무리되면 통합정당은 50석(국민의당 39석, 바른정당 11석)의 중규모 정당으로 거듭나게 된다. 통합정당에서는 개혁정당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해 새로운 지도부가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반대파가 낮은 투표율을 이유로 ‘원천무효’를 주장하며 안 대표 퇴진 운동을 벌이고 있어 전대까지는 극심한 진통이 예상된다. 반대파는 어떻게든 전대를 무산시키겠다고 벼르고 있어 전대까지 당내 내홍은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반대파 의원 18명은 이날 국회에서 ‘국민의당 지키기 운동본부’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안 대표의 퇴진을 요구했다

이 때문에 안 대표가 ‘체육관 전대’가 아닌 ‘전자투표’라는 우회로를 택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안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반대파를 이끄는 호남계 중진 의원들을 겨냥해 “민심을 받들어 정치한다면서 이런 정도의 명백한 의사 표시를 두고 계속 논란을 벌이는 것은 스스로 심판을 받는 길을 택하는 것”이라고 날을 세우기도 했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