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주열, "추가 금리인상은 신중히 할 것", 3월 말 퇴임 전 "마무리 잘 하려고 한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지난해 11월 금리인상을 단행한 것을 놓고 “최적의 적기였다”고 밝혔다. 추가 금리인상은 경기 지표 등에 따라 신중히 할 것이라는 뜻을 재차 전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기자들과의 신년 간담회를 갖고 “지난해 금리를 올리겠다는 자체는 목표가 아니었고, 성장세가 워낙 괜찮았고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올려야 하는 상황이었다”며 “금리를 올릴 때 쇼크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일체의 그런 것 없이 금리인상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11월 6년5개월만에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1.50%로 인상조치했다.

그는 “저금리가 오래갈 수는 없는데 (금리인상) 시작을 했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며 “추가 금리인상은 ‘데이터 디펜던트(Data Dependant)’에 따라 경기 지표와 상황이 뒷받침되면 하는 것이고 금통위원들이 물가를 많이 우려했기 때문에 신중히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물가 상승률과 관련해선 “지금 물가가 낮다고 보는게 간접적인 요인도 있고, 기저효과도 있어 앞으로 어떻게 될지를 중심으로 보고 있다”며 “통화정책은 근원물가지수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발언했다. 올해 경제 성장세에 대해서는 “3% 언저리를 달성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보는데 전망치는 여건이 급변하는 가운데 바뀔 수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 총재는 지난해 한·캐나다와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은 것에 대해 “금융안정을 위한 장치를 하나 갖췄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며 한은이 일궈낸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선택했다.

3월 말 퇴임을 앞둔 그는 “개인적으로 마무리를 잘 하려고 한다”고 털어놨다. 시장과의 소통과 관련해서는 “분명한 메시지를 요구하는데 통화정책을 둘러싼 여건이 시시각각 급변하기 때문에 한치 앞도 못내다보거나 한다”며 “여건이 바뀌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이해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