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금연캠페인의 역설?...소방안전교부세 뚝

교부세 담뱃세와 연동되는데

담배판매 줄어 올 9.1% 감소

충북 제천 화재 참사 등으로 소방안전에 대한 관심이 부쩍 커지고 있지만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에 지원하는 교부세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소방안전교부세가 담뱃세와 연동되는데 최근 금연 확산으로 담배 판매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17개 시도에 지급하는 올해 소방안전교부세가 4,173억원에 그쳤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무려 9.1% 감소한 것이다. 소방안전교부세가 감소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소방안전교부세는 지자체의 소방·안전관리 강화 등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5년 신설된 지방교부세다. 첫 해 3,141억원이었던 전체 규모는 2016년 4,147억원, 2017년 4,588억원으로 매년 늘어왔다.


소방안전교부세 재원은 담배에 부과하는 개별소비세의 20%로 마련된다. 기획재정부가 추산하는 올해 담배 반출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체 담뱃세 추계가 줄고 이에 따라 교부세 총액도 감소한 것이다. 최근 확산되고 있는 금연운동의 역설인 셈이다.

관련기사



소방안전교부세는 전체 10% 이내를 대규모 예산투입이 필요한 소방·안전사업(특수 수요)에 쓰고 나머지는 소방·안전 투자 수요(40%), 안전관리 강화 노력(40%), 재정 여건(20%) 기준에 따라 17개 시도별로 교부된다. 올해 특수 수요액은 소방헬기 보강 230억원(서울·부산), 안전체험관 건립 185억원(7개 시도) 등 415억원이다.

소방안전교부세의 시도별 교부액을 보면 경기도가 406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울시 275억원, 경남도 269억원 등 순이다. 교부액이 적은 시도는 세종시 64억원, 대전시 154억원, 울산시 184억원 등이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